전북인구 지난 말 기준 177만 명 붕괴, 연내 175만 명대 붕괴 예상
‘일할 곳’, ‘즐길 곳’ 모두 부족한 전북 인구유출 원인 1순위
대기업 유치 인구증가와 직격
과거 전주보다 규모가 작았던 ‘청주’와 ‘화성’ 이제는 전주를 내려다보는 위치
두 지역의 성장 중심엔 ‘대기업’ 자리
대기업 유치가 지속적인 인구감소로 현실화하고 있는 ‘전북 존폐위기’의 유일한 대책으로 부상했다. 전북보다 앞서 특별자치도 출범을 확정지었던 강원과 제주는 물론 전북과 그 규모가 비슷한 충북까지 대기업 유치에 사활을 걸었다. 대기업 유치로 인한 인구유입과 지역발전 효과가 확실하게 증명됐기 때문이다.
29일 행정안전부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전북의 인구는 지난해 말 기준 176만 9607명으로 177만 명 대가 깨졌다. 매년 1만 5000명 이상의 인구가 유출되고 있는 지금 추세대로라면 2023년 연내엔 175만 명 선도 붕괴될 전망이다.
전북의 인구유출은 ‘일할 곳’도 ‘즐길 곳’도 없다는 데에서 기인한다. 지속적인 인구유출은 공공·민간 부문 모두의 수요감소로 이어지면서 악순환을 낳고 있다. 수도권과 지역 내 일부 여론은 “대기업 하나 유치한다고 낙후된 지역이 발전하겠냐”면서 지역균형발전에 대한 암울한 평가를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대기업 유치의 효과는 이미 통계로 입증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인구증가의 결정적인 요인인 출생아 수는 대기업 소재 여부와 밀접한 상관 관계를 드러냈다.
대기업 유치 효과로 ‘상전벽해’ 수준의 발전 효과를 누린 지자체는 ‘화성시’와 ‘청주시’가 대표적이다. 이 두 도시는 서울과의 ‘지리적 이점’ 외에도 수많은 지원책 등을 제시하면서 대기업을 유인했다.
2013년 인구가 53만에 불과했던 화성시 인구는 지난해 말 91만 명을 돌파했다. 가장 최근의 인구 분석 통계인 ‘시군구별 출생아 수 및 합계출산율 2021’(지난해 9월 공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이 지역의 출생아 수는 6551명으로 전국 1위를 기록했다. 화성시는 특례시의 기준이 되는 ‘인구 100만 명 달성’을 눈앞에 두고 있다.
화성시의 인구증가는 동탄1∙2신도시, 향남1∙2신도시 등으로 젊은층의 유입이 대거 이뤄지고, 이들 자녀의 출생이 잇따르고 있어서다. 그 배경에는 삼성전자와 현대·기아자동차가 있다. 기업의 성장과 함께 도시도 성장하고 있는 것이다.
전주와 비슷한 규모였던 청주는 이제 전주와 비교 대상에서 멀어지고 있다. 청주 국제공항과 고속철도 노선을 꺾으면서까지 교통 발달의 수혜를 입은 청주는 청원과의 통합으로 대기업 유치에 더 큰 시너지를 내고 있다.
2013년 67만3000명이던 인구는 2014년 통합 이후 83만2000명으로 대폭 증가했다. 이후 비수도권 지역임에도 인구가 점차 늘면서 지난해 말 인구 85만 명대를 넘었다. 청주에는 SK하이닉스, LG전자, LG화학, SK케미칼 등의 대기업이 소재하고 있다.
전주와 청주의 격차는 지역의 미래경쟁력을 의미하는 출생아 수에서 더욱 분명해졌다. 2021년 기준 전주시 출생아 수는 3134명으로 344명을 기록한 완주군과 합쳐도 3478명에 불과했다. 같은 기간 청주시 출생아 수는 5100명을 기록했다. 군산(1134명)과 익산(1068명)의 출생아 수를 모두 합해야 청주시의 출생아 수와 비슷하다. 충북 청주의 성장세가 얼마만큼 인지를 실감케 하는 데이터다.
인근의 충남 아산시 역시 삼성디스플레이 등 대기업의 영향으로 2013년 28만 명이던 인구가 지난해 말 33만5000명까지 늘었다.
반면 과거 광역시에 가장 근접한 도시였던 전주는 2013년부터 현재까지 인구 65만 명에 머물렀다. 전주가 그나마 인구수를 유지할 수 있는 배경은 도내 농어촌 지역에서의 인구 유입에 있다. 전주에서도 20~40대 젊은 층은 매년 취업과 진학을 이유로 수도권이나 광주·대전 등 인근 광역시로 빠져나가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