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들의 회사 만족도가 30%에도 못 미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취업 포털 잡코리아에 따르면 최근 남녀직장인 35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근무 회사 만족도’ 설문에서 응답자의 28.7%는 ‘만족’을 선택한 반면 71.3%는 ‘불만족’을 꼽았다. 회사 유형별 만족도에선 공기업(47.1%)이 가장 높았고 대기업(43.6%), 외국계기업(39.4%), 중소기업(22.7%) 순이었다. 현재 근무 중인 회사에 만족하는 가장 큰 이유에선 ‘담당하는 직무가 만족스럽다’(24.8%)와 ‘복리혜택 등 근무여건이 좋다’(20.8%), ‘고용상태가 안정적이다’(16.8%), ‘회사 상사 및 동료 등 팀워크가 좋다’(14.9%), ‘연봉이 만족스럽다’(10.9%), ‘회사의 사회적 인지도가 높다’(7.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회사에 불만족하고 있는 직장인들의 가장 큰 이유는 ‘낮은 연봉’(36.3%)이 가장 많았다. 이어 ‘복지혜택 등 근무여건’(30.7%), ‘고용상태가 불안하다’(10%), ‘함께 일하는 동료들의 팀워크가 나쁘다’(8.4%), ‘담당 직무가 만족스럽지 않다’(8%) 등이 뒤를 따랐다. 한편, 이번 조사에 참여한 직장인들에게 언제 업무 몰입이 잘되는지를 물은 결과(복수선택), ‘일이 재미있을 때’(41.5%)가 로 가장 높았고 ‘연봉이 인상되거나 인센티브를 받을 때’(38.4%), ‘회사에서 존중 받고 있다는 인상을 받을 때’(27.8%), ‘일의 성과가 높을 때’(19%), ‘스스로 성장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때’(15.6%), ‘상사나 동료로부터 칭찬의 말을 들었을 때’(11.6%), ‘승진했을 때’(9.1%), ‘함께 일하는 동료와 협업이 잘 될 때’(8.8%)등의 순으로 높았다. 직원들의 일에 대한 만족과 성취감은 회사의 만족도와 직결되어 직원 충성도를 높이는데도 기여할 수 있다. 이는 최근 기업들이 스펙 보다는 직무 중심 채용을 강조하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보인다. 잡코리아(유) 전북지사장
경제일반 | 기고 | 2017-07-11 23:02
직장인 10명 중 3명은 학벌로 인한 소외감을 느낀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취업포털 잡코리아는 최근 남녀 직장인 352명을 상대로 ‘직장인 핸디캡’에 대해 모바일 설문조사를 한 결과, 직장인의 33.8%는 회사 생활을 하면서 ‘학벌 소외감을 느낀 적이 있다’고 답했다. 5년 전 조사에서 57.6%가 이같이 답했던 것에 비해 23.9%포인트 낮아진 것이지만 여전히 10명 중 3명 정도가 학벌 소외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설문조사 결과 가장 많은 34.9%가 자신의 약점으로 ‘영어 등 부족한 외국어 실력’을 꼽았다고 23일 밝혔다. 최종 학력(27.3%)이 2위에 올랐고, 그 뒤로는 부족한 인맥(12.2%), 출신학교(8.8%), 전무한 해외연수·유학 경험(3.4%) 등이 지목됐다. 장인들이 지목한 자신의 핸디캡은 학력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다. 고졸 이하 학력 직장인들은 핸디캡으로 최종 학력을 꼽은 비율이 68.3%나 돼 압도적이었고, 전문대학의 경우도 지방 전문대 졸업자는 36.8%, 서울 전문대 졸업자는 32.1%가 이같이 답했다. 반면 4년제 대학교 졸업자는 핸디캡으로 최종 학력을 선택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특히 서울 지역 4년제 대학교 졸업자는 영어 등 외국어 실력을 꼽은 비율이 51.9%로 절반을 넘었다. 학벌 소외감을 느꼈다는 비율을 최종 학력별로 나눠 보면 고졸 이하 직장인이 56.7%로 가장 높았고, 이어 서울 지역 전문대 졸이 39.3%, 지방 전문대 졸이 36.8%, 지방 4년제 대학교 졸이 26.4%, 서울 지역 4년제 대학교 졸이 17.3%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학벌 소외감을 느끼는 이유로 ‘경력보다 학벌에 의한 연봉 차별이 있다’(46.2%)는 점을 가장 많이 지목했다. 잡코리아(유) 전북지사장
경제일반 | 기고 | 2017-07-04 23:02
남녀 직장인 882명을 대상으로 한 ‘혈액형과 직무’에 관한 설문조사에서 회사 대표이사(CEO) 혈액형으로는 B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취업 포털 잡코리아에 따르면, 이 설문조사에서 근무하고 있는 회사의 대표이사의 혈액형을 알고 있다고 응답한 18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B형이 39%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A형(32.4%), O형(11.5%), AB형(11%) 순이었다.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꼼꼼하고 규칙을 잘 준수하는 A형은 ‘경영·사무’(24.6%)가 가장 많았고 ‘생산·현장’(22.8%), ‘영업·영업관리’(14.2%) ‘연구개발·설계’(8.5%) 등의 순이었다. 활발하고 자유분방한 기질이 강하다고 알려진 B형은 ‘생산·현장’(20.1%), ‘경영·사무’(16.9%), ‘영업·영업관리’(15.4%), ‘재무회계’(11%) 등으로 분포됐다. 사교성과 승부욕이 강한 O형은 ‘영업·영업관리’(25.3%)와 ‘생산·현장’(19.6%), ‘경영·사무’(18.7%), ‘정보기술(IT)·시스템 운영’(10.7%) 등의 순으로 종사했다. 합리적이고 협상능력이 뛰어난 AB형은 ‘마케팅·광고홍보’(18.4%)가 가장 많았고 ‘영업·영업관리’(15.8%), ‘생산·현장’(15.8%), ‘경영·사무’(13.2%) 등의 분야로 이어졌다. 기존에 알려진 ‘혈액형별 특징이 업무스타일과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51.7%의 직장인이 ‘관계가 있다’, 7.7%는 ‘매우 관계가 있다’고 응답해 59.4%의 직장인이 혈액형이 업무스타일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장생활 중 혈액형으로 인한 편견을 겪은 적이 있는가’라는 물음에 58.6%의 직장인이 편견을 겪은 적이 없다고 응답했다. 잡코리아(유) 전북지사장
경제일반 | 기고 | 2017-06-27 2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