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공장 협력업체 부품 납품 방안엔 “계획 없다”

GM본사와 한국지엠이 최근 인천 부평공장과 창원공장에 대해 외국인투자지역(외투지역·FIZ)을 신청하고 신차도 배정한다는 계획을 내놨지만, 군산공장에 대해서는 ‘폐쇄원칙’만 재확인한 것으로 밝혀졌다. 전북도와 도민들의 군산공장 재가동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지엠 군산공장은 지난달 13일 발표한 대로 폐쇄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한국지엠은 이르면 다음 주 인천 부평공장과 창원공장에 대한 외투지역 지정을 신청할 계획이다. 배리앵글 GM 총괄 부사장 겸 해외부문 사장이 지난 8일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를 만나 조만간 산업부에 ‘대(對)한국 투자계획’을 제출하겠다고 밝힌 데 따른 후속조치다.
부평공장과 창원공장이 외투지역으로 진정되면 한국지엠은 법인세·지방세를 감면받을 수 있다. 특히 법인세는 최초 5년 동안 100% 감면받고, 이후 2년간 50%를 감면받을 수 있다. 국유지 처리 임대와 인·허가 처리기간 단축 혜택도 주어진다.
현행법상 외투지역으로 지정되려면 제조업 3000만 달러, 연구개발(R&D) 200만 달러 이상, 시설 신설요건 등을 충족해야 한다. GM은 이런 법적 요건도 충족하기 위해 신차를 한국지엠에 배정하고 신규투자도 하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GM은 한국정부와 산업은행에 이메일을 통해 한국지엠에 2개의 주요 글로벌 신차를 배정한다는 내용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신차배정은 배리앵글사장이 지난달 21일 국회를 방문해서 구두로 약속한 사항이기도 하다.
제품출시·생산에 필요한 신규투자금액 28억 달러(3조원)중 GM의 몫을 GM이 조달하겠다는 입장도 담겼다. 아울러 GM본사가 한국지엠에 대출 형식으로 빌려준 차입금 27억 달러(2조 9000억 원)도 전액 탕감한다는 내용도 있다.
그러나 군산공장에 대한 지원계획은 전무했다. 이같은 사실은 지난 7일 산업통상자원부의 외투지역 관련 회의에 참가한 전북도 관계자를 통해서 확인됐다. 이날 열린 회의에는 한국지엠 공장이 위치한 전북도와 인천시·창원시·정부부처 관계자와 한국지엠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전북도 관계자는 “산업부에서 GM이 부평공장과 창원공장에 신규투자와 신차배정의사를 밝혀왔다며 이 지역에 대한 외투지역 지정과 지방비 보조에 대한 안건으로 회의를 열었다”며 “군산공장하고는 전혀 관계가 없는 내용이었고 ‘군산공장은 폐쇄한다’는 사실만 재확인했다”고 말했다.
한국지엠 군산공장 협력업체 145개와 직원 1만 여명에 대한 구제책도 없었다. 도 관계자는 “군산공장 협력업체에서 나온 부품을 부평·창원공장에 납품할 수 있는 방안도 제시했지만,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는 답변만 돌아왔다”고 말했다. 이밖에 군산공장 매각계획 등도 논의되지 않았다는 게 도 관계자의 전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