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닐곱’과 ‘대여섯’과 ‘여남은’에서 가장 큰 숫자는? 어느 예능 프로에 나왔던 문제 중 하나다. 정답은 열 하고도 조금 남는 수, ‘여남은’이다. <도전 골든벨>에서는 혹시 이런 걸 묻지 않을까. 다음에서 말하는 숫자의 합은 얼마일까요? 고등어 두 손과 오징어 한 축…. 정답은 ‘24’다. ‘고등어 한 손’은 두 마리고, ‘오징어 한 축’은 스무 마리이기 때문이다.
<우리말 겨루기> 수준으로 난이도를 높여보자. 북어 두 쾌와 달걀 다섯 꾸러미와 청어 네 두름과 장작 한 강다리와 바늘 세 쌈 중에서 가장 큰 숫자는? ‘장작 한 강다리’다. ‘쾌’는 숫자로 20, ‘꾸러미’는 10, ‘두름’은 20, ‘강다리’는 100, ‘쌈’은 24여서 그렇다.
시골 식당에 걸린 ‘5섯명’이 정감 있으면서도 문득 궁금해진다. 우리말에는 ‘강다리’나 ‘꾸러미’처럼 숫자 ‘5’를 묶음 단위로 쓰는 게 없을까. 있다. ‘도적’이다. 그러고 보니 도적을 묶어 말할 때는 ‘5섯’이 제격이겠다. 근거가 있다. 바로 ‘을사오적(乙巳五賊)’이다.
도적을 세는 단위로 숫자 ‘5’를 계승한 이가 김지하 시인이다. 1970년 5월, <사상계>에 발표한 담시(譚詩) <오적(五賊)>을 두고 이르는 말이다. 시인은 당시 지도층의 부패상을 ‘을사오적’에 풍자적으로 빗대어 신랄하게 비판했다. 그 일로 시인과 출판사 관계자들은 반공법 위반에 반국가단체 찬양고무동조죄로 엮여 감옥으로 끌려갔다. 이른바 ‘사상계 필화사건’이다.
시인이 말했던 다섯 도적은 재벌, 국회의원, 고급공무원, 장성, 장·차관이다. 50년 가까운 세월이 지났는데도 달라진 게 별로 없어 보인다. 이런 건 어떨까. 해마다 우리 사회의 ‘오적’ 아니 ‘5섯’을 강다리나 꾸러미로 묶어서 발표하는 것이다. 그 또한 적잖이 꾀까다로운 일일까.
우석대 문예창작학과 교수
저작권자 © 전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