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 수요조사에 도내 5개 지역 신청해
전국 지자체 60곳 이상 수요조사 신청한 상황
전북도 나서 과열경쟁 차단하고 경쟁력 높여야
국립과학관 유치를 두고 전북도가 조정능력을 발휘해야 한다는 역할론이 대두되고 있다. 도내 5개 지역이 유치를 희망하고 있어 과열경쟁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21일 전북도 등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초 국립과학관 신설을 위한 수요조사를 진행했다. 전북에서는 전주시, 군산시, 익산시, 김제시, 임실군 등 5개 지자체가 유치를 희망했다.
전주시는 전주교도소 부지, 군산시는 옛 한화건설 부지, 익산시는 익산역 앞 구시가지 일대, 김제시는 벽골제 인근, 임실군은 치즈테마파크 인근에 유치를 계획하고 있다. 또 전주시 1000억 원, 군산시·익산시·김제시 각 400억 원, 임실군 30억 원대 사업 규모을 원하고 있다.
국립과학관은 과학기술 문화전당으로 과학기술에 대한 흥미와 창의력을 높이기 위한 전시와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곳이다. 놀이와 학습이 함께 이뤄진다는 점에서 학부모와 아이들에게 인기가 높다. 과기부 산하기관으로 대전에 국립중앙과학관이 있고 부산시, 대구시, 광주시, 경기 과천시에 분원 형태로 국립과학관이 있다. 국비로 건립되기 때문에 지자체는 재정적 부담 없이 시민 만족도를 높이고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는 시설을 가질 수 있다.
이에 국립과학관 유치에 뛰어든 지자체는 전국적으로 60곳 이상인 것으로 확인됐다. 과기부 관계자는 정확한 정보 제공을 꺼리면서도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광역단체 기준 4~6곳이 신청했다”고 밝혔다.
전국적인 유치 경쟁이 벌어진다는 점에서 전북도가 내부 경쟁을 막고 유치 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조언이다. 전국적인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차원에서다. 공정한 평가를 통해 특정 지역을 선정하면 내부 불만도 최소화 할 수 있다.
전북연구원장을 지낸 원도연 원광대 교수는 “전북도가 조정기능이 있어야 한다. 각 지역별 위원을 선발하거나 제3자를 통해 공정한 예선전을 치른 뒤 경쟁력 있는 지역을 밀어줘야 한다”고 조언했다.
전북도는 국립과학관 유치를 위해 적극 개입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복수의 전북도 관계자는 “아직 그럴(특정 지역 선정을 논의 할) 단계가 아니다”면서도 “국립과학관 전북 유치를 위해 설립 타당성을 정부에 알릴 수 있는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정부 방침에 따라 대표선수(특정 지역)를 정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