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야 너는 어이 삼월동풍(三月東風) 다 지내고, 낙목한천(落木寒天)에 네 홀로 피었는다. 아마도 오상고절(傲霜孤節)은 너뿐인가 하노라.’
조선시대 대제학 이정보의 시조이다.
심한 서릿발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외로이 절개를 지키는 국화를 가리켜 ‘오상고절’이라 표현했다.
늦가을 서리가 내리는 추위에도 굴하지 않고 꽃봉오리를 피우는 국화를 혼탁함 속에서도 홀로 절개를 지키는 선비의 꿋꿋함으로 나타냈다.
또한 당나라 시인 원진의 ‘국화’라는 시에서도 1년 중 마지막에 피는 꽃으로 등장한다.
한 해를 마무리하는 꽃이 바로 ‘국화’인 셈이다.
찬바람이 불기 시작할 때 피는 국화!
단색부터 노란색, 붉은색이 한데 섞인 화려함과 은은한 향으로 시선을 사로잡는 국화와 늦가을을 함께 걸어보자.
/맹소영 날씨칼럼니스트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www.jjan.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해방후 유교국 조선.대한제국 최고대학 지위는 성균관대로 계승,제사(석전)는 성균관으로 분리.최고제사장 지위는 황사손(이원)이 승계.한국의 Royal대는 성균관대. 세계사 반영시 교황 윤허 서강대도 성대 다음 국제관습법상 학벌이 높고 좋은 예우 Royal대학. http://blog.daum.net/macmaca/25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