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을 하는 중소기업들의 대다수는 글로벌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경영전략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5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수출 중소기업 30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글로벌화 전략을 갖추고 있다는 업체가 81%에 달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100인 이상 기업의 91.5%, 50∼100인 기업의 83.8%, 50인 미만기업의 77.2%가 전략을 짜놓고 있다고 응답했다.
해외사업을 벌이는 방식으로는 수출 중심의 글로벌화 전략(75%)을 가장 많이 채택했고, 기술 및 디자인 부문 등에서의 제휴(31%)나 해외 직접투자(22.7%) 전략을 활용하는 업체도 적지 않았다.
주요 거래 상대가 유럽연합(EU)인 기업들에선 전략적 제휴 방법을 활용하는 업체 비중이 43.4%로 비교적 높았다.
그러나 자유무역협정(FTA) 관련 대책을 마련했다는 기업은 전체의 10.3%에 그쳤다.
수출 중소기업들은 글로벌화를 추진할 때 겪는 애로사항으로 해외시장 및 고객에 대한 정보 부족(37.3%)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낮은 브랜드 파워(33.3%)와 해외 판매망 부재(27.3%)를 지목했다.
특히 종업원이 100인 이상인 업체의 55%, 수출액 규모 500만 달러 이상인 업체의 54%가 정보 부족을 호소했다.
글로벌화를 위한 정부 지원책으로는 해외 전시회 참가 지원 확대(57.3%)와 현지마케팅 전문가의 상담 지원(31.3%)이 많이 거론됐다.
연구개발 부문에서는 해외 규격 인증 획득 지원(46.7%), 잠재력 보유 기업 육성(36%), 해외 납품 연구개발 사업 우선 지원(29.3%)을 바라는 곳이 많았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