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지적재산권 남용 국내외 대기업 조사

공정거래위, 경쟁관련 법률 도입 뒤 처음 실시…IT산업 분야 중소업체 막대한 피해 방지 취지

공정거래위원회가 국내에 경쟁 관련 법률이 도입된 이후 처음으로 국내 기업은 물론 다국적 기업을 대상으로 특허권 등 지적재산권 전반에 걸쳐 대규모 직권조사에 나섰다.

 

특히 이번 조사는 최근 사회적 현안으로 부각된 '대기업-중소기업 상생.협력' 현안과 관련, 상당수 중소기업이 국내외 대기업들의 지적재산권 남용으로 적지 않은피해를 보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공정위는 9일 "정보기술(IT) 산업 분야 전반에 걸쳐 국내 기업과 다국적 기업의특허권 등 지적재산권 남용 여부에 대한 대규모 직권조사를 지난 6일부터 시작했다"고 밝혔다.

 

조사대상은 국내 정보기술 산업과 직.간접적인 연관성이 높은 다국적 기업 19개사와 국내 기업 40개사 등 모두 59개사로 공정위가 지적재산권 분야를 직권조사하는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조사대상 기업은 반도체, 이동통신, 컴퓨터 및 주변기기 등 IT산업 분야에서 핵심특허를 다수 보유한 기업과 특히 국내 중소기업과 특허분쟁 경험이 있는 기업들이대부분이라고 공정위는 말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최근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양극화' 현상이 문제가 되는 상황에서 국내 중소기업들이 국내외 대기업들의 지적재산권 남용으로 적지 않은 피해를 보고 있다고 판단해 처음으로 직권조사에 나서게 됐다"고 설명했다.

 

조사대상 유형은 ▲특허기술 이용을 허락하면서 특허기술과 무관한 상품을 끼워파는 행위 ▲근거 없는 특허소송을 제기해 경쟁사업자의 시장 진입을 지연시키는 행위 ▲특허기술의 로열티를 근거 없이 높게 책정하거나 차별적으로 부과해 시장의 경쟁을 제한하는 행위 등이다.

 

공정위는 "기술 의존도가 높아 특허전략 등 지적재산권이 기업의 성쇠를 좌우하는 IT산업 분야는 다른 산업에 비해 특허권 등 지적재산권 남용 우려가 크다"면서 "이로 인한 피해는 적게는 수백억원에서 많게는 수조원에 이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미국 반도체 설계회사인 RAMBUS사는 로열티 요구에 응하지 않는 사업자를 대상으로 특허침해 소송을 제기해 국내 삼성전자, 하이닉스 등을 상대로 특허분쟁을 진행, 하이닉스의 경우 2001년부터 지금까지 소송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이다.

 

또 2009년 공정위는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 표준기술을 휴대전화 제조사에 특허사용계약을 체결하면서 경쟁사의 모뎀칩을 사용할 경우 차별적으로 높은 로열티를 부과한 퀄컴에 대해 시정명령과 함께 2천732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한 바 있다.

 

이번 조사는 국내 대기업은 9월17일까지 6주간, 다국적 대기업은 9월30일까지 8주간 각각 서면조사 형태로 실시되며, 공정위는 남용 혐의가 드러난 기업에 대해선 추가 조사를 벌일 방침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대한민국 행정 중심엔 지방정부…모든 주민 만족할 성과 내달라”

정치일반대통령실 “감사원 정책감사 폐지…직권남용죄 엄격히 적용”

정치일반전북도, 복권기금 녹색자금 공모 3개 시·군 사업 선정… 국비 14억 확보

정치일반새만금개발청, 핵융합에너지 연구기지 경쟁력 모색

경제일반[건축신문고]건축설계변경, 언제까지 건축사가 안고가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