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12 21:16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경제 chevron_right 산업·기업
일반기사

[두얼굴의 대형마트] 안팔리면 "제품 빼"…불량·저질 "난 몰라"

[두 얼굴의 대형마트]납품업체에 떠넘기기…불공정 횡포

8일 도내 한 대형마트 매장에서 점원이 PB상품을 진열하고 있다. 이강민(lgm19740@jjan.kr)

대형마트가 우리 실생활에 자리잡은 지 15년 이상의 세월이 흘렀다. 대형마트가 쇼핑의 개념을 바꾸며 소비자들의 실생활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 점은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다점포 정책을 구사하는 대형마트들로 인해 지역상권의 붕괴는 물론, 알게 모르게 가격과 품질 면에서도 소비자들의 이익을 침해하는 일들이 허다하게 벌어지고 있다. 특히 물품 구입과 고용,서비스 등 대형마트의 모든 정책이 수도권 위주로 이뤄짐에 따라 지역은 상권 붕괴에 따른 손실 만을 떠안을 뿐 실질적인 경제적 이득을 취하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이에 지역의 실익과는 따로 가는 대형마트의 문제점과 소비자 이익을 외면하는 대형마트의 두 얼굴에 대해 시리즈로 살펴본다.

 

2년여 전 한 대형마트에 식품을 납품했던 도내 한 식품제조업체 대표는 PB(대형마트 자체브랜드)상품에 대해 묻자, 분통부터 터뜨렸다.

 

PB상품으로 납품을 해도 매출이 오르지 않으면 자리를 빼야 한다. 대형마트에서 상품 하나를 사면, 다른 하나를 얹어주는 '원+원'행사를 기획해도 정작 납품업체와 협의는 없다고 한다. 급발주가 들어오면 배송까지 업체가 맡아야 하고, 판촉사원을 파견해야 하는 일은 차라리 애교에 가깝다.

 

"대형마트에서 요구하는 대로 시행해 줄 수밖에 없어요. 저희는 마진폭이 줄거나 적자를 봐도 요구를 하면 따를 수밖에 없죠."

 

유통업체가 독자적인 상품을 기획해 생산만 제조사에 의뢰한 PB상품에 대한 납품업체들의 불만이 가득하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싼 가격에 각종 판촉행사까지 겹친 PB상품이 매혹적일지 몰라도 납품업체는 판로라는 강력한 힘을 가진 대형마트의 횡포에 놀아날 수밖에 없는 노릇이다. 과거에는 제조업이 유통업의 우위에 섰지만 현재는 대형마트를 통한 역전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유통업체가 대형화 다점포화 되면서 제조업체의 힘을 능가했고, 더 나아가 제조업체를 뒤흔드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같은 역전현상이 소비자에게 마냥 유리한 것만은 아니다.

 

지난달 22일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대한 국회 국정감사에서 보건복지위 소속 유재중 의원은 대형마트 PB상품 중 다수가 불량식품인 것으로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유 의원이 밝힌 '대형마트 PB 제품 식품관련 이물신고, 수거부적합 현황(2008~2010.6)' 자료에 따르면 이마트가 총 32건의 이물신고가 있었으며 홈플러스와 롯데마트가 각각 19건으로 나타났다.수거·검사 부적합 제품 역시 이마트와 롯데마트가 각각 8건 등 총 2730㎏이 발견돼 이 중 61%인 1694㎏이 회수 조치됐다.

 

또 한국소비자원이 지난 2008년 대형마트 PB상품과 일반(NB)상품을 비교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PB상품 일부에서 주요성분 함량이 일반 상품에 비해 적게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A불고기햄의 경우 PB상품과 일반상품의 제조업체가 동일하지만 가격은 PB상품이 11.1% 저렴한 대신 주요성분인 돼지고기가 30% 이상 적게 함유되고 닭고기가 일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대근 전주시 유통상생협의회장(우석대 교수)은 "대형마트 입장에서 PB상품은 자체 이미지를 이용해 판매하기에 판촉비용이 들지 않고 마진이 좋아 향후 제품 구성비 중 50% 이상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하지만 PB상품은 납품업체와의 역관계에 따른 불공정거래가 진행되기에 납품업체를 고사시킬 수 있고, 제품의 질을 떨어뜨려 소비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임상훈 desk@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경제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