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최고 인기 레퍼토리인 발레 '호두까기 인형'이 올해 12월에도 여러 발레단에 의해 공연된다.
'호두까기 인형'은 어린이 관객까지 겨냥해 다른 발레 작품들에 비해 등장인물과 춤 종류가 많고 무대가 화려한 것이 특징으로, 이번엔 발레단마다 각각 조금씩 다른 버전의 작품을 올릴 예정이어서 취향에 따라 골라 보는 재미도 쏠쏠할 법하다.
전통적인 작품은 유니버설발레단이 오는 12월 22일부터 31일까지 유니버설아트센터에서 공연하는 '마린스키 버전'의 '호두까기 인형'이다.
상트 페테르부르크 마린스키 극장의 의뢰를 받아 차이코프스키가 음악을 만들고 마린스키의 예술감독이었던 마리우스 프티파가 안무해 탄생시킨 작품으로, 마린스키 극장에서 1892년에 초연된 이후 120여년간 크리스마스 시즌에 사랑받고 있다.
1막에서는 호두까기인형과 생쥐왕의 실감나는 전투장면, 아름다운 군무 '눈의 왈츠'를 비롯해 2막에서 의인화된 과자들이 추는 스페인춤, 중국춤, 러시아춤 등 세계 각국의 춤이 화려하게 펼쳐진다.
또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마더진저와 봉봉과자의 춤'과 작품의 하이라이트인 주인공 소녀 클라라와 왕자의 2인무(그랑파드되)도 명장면들이다.
국립발레단이 12월 17일부터 25일까지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공연하는 '호두까기 인형'은 흔히 '볼쇼이 버전'으로 불리는 유리 그리가로비치의 안무작이다.
러시아 볼쇼이 발레단을 33년간 이끈 예술감독 유리 그리가로비치는 1966년 볼쇼이 극장에서 '호두까기 인형'을 초연하면서 마리우스 프티파 버전의 대본 자체를 뜯어고쳤다.
주인공 '클라라'의 이름도 '마리'로 바꿨고 안무에서는 기존의 마임 동작을 모두 춤 동작으로 표현해 춤의 종류와 분량을 대폭 늘렸다. 역동적인 춤을 선호하는 그리가로비치답게 회전과 도약 등 화려한 동작들을 많이 넣어 풍성함을 더했으며 기존에 나무 인형으로 처리한 '호두까기 인형' 캐릭터도 어린이 무용수에게 맡겨 생동감을 살렸다.
서울발레시어터는 12월 3일부터 한 달여간 주말마다 안산문화예술의전당과 이천아트홀, 안동문화예술의전당, 부평아트센터, 서울 열린극장 창동 등을 돌며 '호두까기 인형'을 공연한다.
서울발레시어터의 '호두까기 인형'은 이 발레단의 상임안무가 제임스 전이 안무한 작품이다. 기본적인 뼈대는 기존의 마린스키와 볼쇼이 버전을 바탕으로 했지만, 보다 빠른 템포로 변형하고 각 나라의 전통춤에 한국춤을 넣는 등 개성을 살렸다.
2막에 등장하는 '마더진저'는 서양 드레스가 아니라 조선시대 왕비 옷을 입고 나와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뽐낸다.
또 제임스 전이 마술사인 '드롯셀마이어' 역으로 직접 출연해 재미있는 연기를 선보인다.
각 발레단마다 가족.어린이 할인 제도를 운영하므로 티켓을 구입하기 전에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