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시] 완주의 '2100년 긴 잠' 깨우다

국립전주박물관 '금강의 새로운 힘…' 특별전

금강 유역은 남한 지역 청동기문화의 중심지이자 철기문화가 가장 먼저 시작된 곳이다. 여기에 해당되는 완주 갈동·신충·덕동에서 출토된 선진 유물은 이 땅에 펼쳐진 새로운 문화를 찾아가는 열쇠.

 

국립전주박물관(관장 곽동석)이 재단법인 호남문화재연구원(원장 임영진)과 완주의 최근 발굴 유물을 공개하는 특별전'금강의 새로운 힘 - 2100년 전 완주 사람들'이 열리고 있다. 전시는 세 개의 주제로 구성됐다.

 

첫번째 주제 '완주에서 2100년 전의 대규모 무덤 발굴'에서는 완주 갈동·신풍·덕동 유적에서 발굴된 기원전 1~2세기 경 무덤 100여 기가 선보인다. 무덤 형태도 고인돌과 다른 움무덤으로 중서부 지방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널무덤과 덧널무덤에서는 청동칼 거푸집 1쌍 등이 함께 발견됐으며, 거푸집으로 만든 쇠도끼와 쇠낫은 중국 전국 시대의 철기와 비슷하다.

 

두번째 주제 '2100년 전 완주의 신문물'에서는 당시 청동기 문화를 바탕으로 철기문화를 새롭게 받아들여 만든 다양한 유물이 전시된다. 특히 출토된 유물 증 최고의 기술을 자랑하는 정교한 잔무늬 거울 11점은 남한 지역 발굴품중 가장 뛰어나다. 국보 제143호 화순 대곡리 출토 잔무늬 거울과 비교해 볼 수 도 있다.

 

마지막으로 '선진 문화의 중심, 완주'에서는 선진 문화를 받아들인 완주 사람들의 힘을 느껴볼 수 있는 자리. 완주 주변에서 발굴된 청동기와 철기가 함께 비교 전시된다.

 

곽동석 관장은 "이번 특별전은 오랜 침묵을 깨고 땅 속에서 발견된 흔적을 통해 완주의 옛 사람들과 조우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7일에는 박물관 강당에서 임영진 전남대 교수를 초청해 '완주지역 마한세력의 발전'을 주제로 한 강연도 마련된다"고 말했다.

 

▲ 금강의 새로운 힘 - 2100년 전 완주사람들 = 6월 26일까지 국립전주박물관 전시실.

 

이화정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군산"기초의원 다치면 '두번' 챙긴다"···상해보상 ‘겹치기 예산’

자치·의회서난이 전북도의원 “전북자치도, 금융중심지 지정 위해 분골쇄신 필요”

자치·의회최형열 전북도의원 “지사 발목 잡는 정무라인, 존재 이유 의문”

사건·사고‘남원 테마파크 사업 뇌물 수수 의혹’⋯경찰, 관련자 대상 내사 착수

국회·정당도의회, 전북도 2036올림픽추진단 올림픽 추진 업무 집중 질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