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년 동안 15대 재벌의 신규편입 계열사가 64.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건설과 부동산, 임대 업종이 17.6%를 차지했다.
5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15대 재벌의 전체계열사 수는 2007년 4월 472개사에서 2011년 4월 778개사로 306개사(64.8%) 늘었다.
현대중공업이 7개에서 21개로 늘어 가장 높은 증가율(200%)을 보였고 포스코(23개→61개, 165.2%), LS(20개→47개, 135%), STX(11개→21개, 90.9%), LG(31개→59개, 90.3%) 순으로 나타났다.
단순 증가 수는 포스코(38개사), 롯데(34개사), SK(29개사), LG와 GS(28개사)순으로 많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15대 재벌의 신규편입 계열사 488개 중 비제조업과 서비스업이 74.2%(362개)를 차지했으며 제조업은 126개사에 그쳤다.
그중 건설ㆍ부동산ㆍ임대업이 86개사(17.6%)로 가장 많았고 전문ㆍ과학기술ㆍ교육ㆍ사업지원 서비스업이 58개사(11.9%), 출판ㆍ영상ㆍ방송통신ㆍ정보서비스업이 57개사(11.7%)로 뒤를 이었다.
제조업에서는 기계장비 및 의료ㆍ정밀기기 등 25개사(5.1%), 전기ㆍ전자ㆍ통신기기 23개사(4.7%), 금속ㆍ비금속 제조업 23개사(4.7%)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위원회가 중소기업 적합업종ㆍ품목 선정을 위해 중소기업들로부터 품목신청을 가장 많이 받은 업종들이었다.
경실련은 "이명박 정부 출범 후 투자를 촉진한다는 명분으로 출자총액제한제도의 폐지, 법인세 최고세율인하 등 각종 규제가 폐지됐지만, 재벌들은 투자보다는 계열사 확장을 통한 몸집 불리기와 토지자산 매입, 사내유보금 증가, 진출업종 확대를 통한 중소상권의 위협에 주력해 경제양극화가 심화됐다"고 지적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