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가 상승, 기계화로 산업연관효과는 하락
경제규모가 커진데 힘입어 2010년 우리나라의 재화ㆍ서비스 총공급액이 전년보다 무려 13% 이상 늘어났다.
특히 산업구조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1988년 이후 처음으로 50%를 넘어섰다.
그러나 원자재 가격 상승과 자동화ㆍ기계화 추세 탓에 생산유발 및 취업유발 효과는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총공급액 대폭 증가
한국은행이 30일 내놓은 `2010년 산업연관표'를 보면 2010년 우리나라의 재화 및 서비스의 총공급액은 3천733조1천억원으로 2009년에 비해 13.6%나 늘었다.
총공급액은 국내 전체 산출액에 수입을 더한 것으로 전체 경제규모를 가늠할 수 있는 하나의 척도로 사용된다.
반면에 2009년의 총공급액은 3천286조7천억원으로 2008년(3천320조3천억원)보다 1.0% 줄었다. 이는 2008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금융위기의 영향 때문으로 보인다.
2010년 총공급액 가운데 국내산출액 비중은 3천124조원으로 83.7%를 점했고, 수입은 609조1천억원으로 16.3%에 달했다.
수입 비중은 2008년 17.5%까지 올랐다가 2009년 15.6%로 떨어지고서 2010년 반등했다.
우리 경제에서 대외부문이 차지하는 수출입 비중은 2010년 32.9%로 전년(31.8%)보다 1.1%포인트 올랐다.
이와 함께 2010년 중 최종수요는 1천761조7천억원으로 2009년(1천559조7천억원)에 비해 13.0%나 증가했다.
이 가운데 수출은 34.2%에서 35.1%로, 투자는 17.9%에서 19.7%로 각각 비중이 확대됐으나 소비 비중은 47.9%에서 45.1%로 줄어들었다.
소비 가운데 민간소비는 2008년 561조6천억원에서 2009년 576조원으로 2.6% 증가하는데 그쳤으나 2010년(617조원)에는 증가 폭이 전년보다 7.1%로 확대됐다.
한은 관계자는 "절대가격 기준 소비액도 커졌지만, 수출액이 더욱 많이 늘어나 소비 비중이 축소됐다"면서 "따라서 내수부진의 고착화로는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제조업 비중 1988년 이후 처음으로 50% 넘어
산출액을 기준으로 산업구조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9년 47.7%에서 2010년 50.2%로 올랐다.
제조업 비중은 1980년 51.0%에서 1988년 52.7%까지 올랐다가 1990년 49.6%로 낮아지고서 줄곧 40% 후반대에 머물렀다. 22년 만에 50%대를 회복한 것이다.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석유제품과 1차 금속제품, 화학제품의 가격이 오름에 따라 제조업 가운데 기초소재업종의 비중이 20.6%에서 22.0%로 확대됐다.
특히 조립가공업종에 속하는 반도체, 전자표시장치, 자동차의 산출액이 각각 49.9%, 29.0%, 26.8% 늘어나 제조업의 비중 확대에 기여했다.
반면에 서비스업 비중은 2009년 39.3%에서 2010년 37.7%로 축소됐다. 이는 1998년 35.8% 이후 최저다.
서비스업은 도소매, 운수ㆍ보관 등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산출액이 늘었으나 제조업보다 증가 폭이 적어 산업비중이 축소됐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원자재ㆍ기계화로 산업연관효과 하락
최근 몇 년 새 두드러지게 나타난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은 산업연관 효과를 떨어뜨리는 주요인으로 작용했다.
일정 단위의 수요증가가 전(全)산업에 미치는 효과를 의미하는 `생산유발계수'는 2009년 1.955에서 2010년 1.948로 떨어졌다. 이는 원자재 가격 상승과 함께 국산 중간투입률이 낮아졌기 때문이라고 한은은 분석했다.
수입 중간투입률이 15.4%에서 15.9%로 상승함으로써 2010년 전산업 평균 수입유발계수가 0.313에서 0.314로 상승했지만 부가가치유발계수는 0.687에서 0.686으로 다소 낮아졌다.
또 국내산출과 관련된 재화ㆍ서비스의 중간투입률은 2009년 62.2%에서 2010년 63.1로 상승했다. 부가가치율은 지속적으로 떨어져 2008년 36.8%까지 낮아졌다가 14년만에 처음으로 2009년 37.8%로 반등했으나 2010년 36.9%로 다시 떨어졌다.
이는 국제 원자재가격이 올라 수입품 중간투입률(15.4→15.9%)과 국산품 중간투입률(46.8→47.2%) 모두 상승했기 때문이다. 특히 수입투입률이 국산투입률보다 더 크게 상승하면서 국산화율은 75.3%에서 74.7%로 하락했다.
아울러 2010년 중 우리나라 취업자 수는 2천35만5천명으로 2009년(1천973만1천명)에 비해 3.2%(62만4천명) 늘었다. 산업별로는 서비스업은 48만5천명, 제조업은 24만3천명 증가했다.
형태별로는 상용직은 48만3천명, 임시ㆍ일용직은 12만4천명 늘었다. 상용직은 계약직을 포함해 1년 이상 고용된 경우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 통상적인 의미의 정규직 고용 확대와는 거리가 있다.
자동화와 기계화의 영향으로 전산업 평균 취업유발계수는 2009년 13.8명에서 2010년 12.9명으로 감소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