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택시운송조합"32% 인상 요인" / 道,서민 물가안정 차원 부정적 입장
최근 서울과 부산 등 전국 곳곳에서 택시요금 인상안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도내에서도 업계의 요금 인상안이 건의돼 전북도가 적정 운임 및 요율 등에 대한 검토 작업에 나섰다.
전북도는 택시업계에서 최근 요금 인상을 건의함에 따라 일단 운송원가 및 수입금 분석을 통해 적정 운임·요율 기준을 도출하기 위한 용역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5일 밝혔다.
전북택시운송사업조합 관계자는 "LPG 가격 급등과 인건비 상승 등으로 인해 32%의 택시요금 인상 요인이 발생했다"면서 "이같은 용역 결과를 토대로 전북도에 지난달 하순 요금 인상을 요구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전북도가 서민생활 및 물가 안정 차원에서 지방공공요금 인상 억제 시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만큼 올해 택시요금 인상 결정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도 관계자는 "전국적으로 택시업계에서 요금 인상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추이를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며 "용역은 기본적인 데이터 마련을 위한 것이며, 현재 요금 인상안에 대한 논의나 관련 절차는 전혀 추진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도내 택시요금은 3년전인 지난 2009년 3월 인상됐다. 당시 전주에서는 택시 기본요금이 1800원에서 2200원으로 올랐고, 100원을 기준으로 한 거리와 시간 요율도 178m에서 150m로, 43초에서 36초로 당겨졌다.
한편 전북도는 정부의 '택시 지역별 총량제'에 따라 올부터 오는 2014년까지 전주와 군산·익산 등 도내 6개 시지역의 법인 및 개인택시 756대(전체의 8.7%)를 줄이기로 했다. 지방비를 들여 지역의 택시 과잉공급을 억제, 택시사업의 건전한 발전을 유도하겠다는 취지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