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매 아리랑' 송재영 도립국악원 창극단장
소리판에 여성들이 많아지고 소리 역시 기교적이고 장식적으로 변했지만, 소리의 본질은 호방함. 그는 "그동안 여러 공연을 통해 잔재주를 부리는 무대를 많이 봐왔으나 무엇보다도 소리가 중심이 돼야 한다. 명창의 소리가 모든 것을 말해준다"고 이야기해왔다.
30일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모악당에서 올리는 창작창극'어매 아리랑'은 전통 판소리의 대중화를 위한 행보. 그는 "단단한 소리를 바탕에 두고 국립창극단 출신 배우에게 연기력 지도까지 받게 하는 등 열성을 들였다"고 했다. 극의 유일한 변칙은 음악. 시대적 해석을 음악을 통해 표출하기 위해 곡을 새롭게 편곡했고 창극이라 하더라도 쉽사리 시도하지 못하는 악극단 선율이 그대로 흘러나오는 장면까지 넣어 완성도를 높였다. 창작창극은 분명 현대적 변주가 가능하지만, '쉬운 파격'이 아니라 '어려운 정도'를 택한 제작진의 진정성이 느껴지는 무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