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예술인들 기증작 전시 / 온고을 예술 법정 주도하고 / 본관에는 초등생들 작품도
대법원 인사에 따라 지난 1일자로 전주지방법원 사무국장으로 부임한 김동환 국장(54·부이사관)은 법원 직원들이 편안하고 행복한 직장생활을 하게 되면 그만큼 여유와 배려가 생겨나 법원을 찾은 민원인들에게도 친절하게 응대하게 되고 결국 사법서비스 질 향상으로 이어진다고 강조했다.
김 국장은 “그 같은 직장을 만들기 위해 무엇보다 내부 직원들과 편안한 소통을 이끌어 낼 방침”이라고 말했다.
그는 “20~30대 실무관들의 생각과 오래 근무한 법원 직원들의 생각은 다를 수밖에 없다”며 “앞으로 2년 임기동안 직원들과의 대화시간을 자주 갖고 의견을 듣겠다”고 했다.
김 국장은 특히 지어진 지 오래돼 낡고 불편한 전주지법의 시설과 근무환경을 여건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개선하는 것도 과제라고 밝혔다.
정읍 산내 출신인 그는 임실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나왔다. 이후 전주 완산고를 졸업한 뒤 전북대학교 법학과에 입학해 사법고시를 준비했지만 1986년 여의치 않은 가정형편으로 법원 공무원의 길을 택했다.
김 국장은 “가정형편이 나아지면 공무원을 그만두고 고시에 전념할 생각이었지만 여러 사정으로 한 해 두 해 더 근무했고 이 자리에까지 오게 됐다”고 30여년 법원 공무원 근무 배경을 설명했다.
전북지역에서 주로 근무해왔고 지난 2014년 전주지법 총무과장으로 근무할 당시 차갑고 딱딱하기만 한 법원 민·형사 법정과 청사 내부에 전북지역 서양·문인화가와 사진작가, 서예가들이 기증한 예술 작품을 전시하는 ‘온고을 예술 법정’을 주도한 것이 바로 그다.
이같은 법원의 이미지 탈피 노력을 펼친 곳은 당시 전국 법원 중 전주지법과 창원지법 두 곳뿐이었다.
김 국장은 이후 부이사관으로 승진해 법원행정처 윤리감사 제2심의관(윤리감사국장)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전북을 떠났고 1년 반 만에 전주지법 사무국 수장으로 금의환향했다.
떠날 때처럼 전주지법의 환경이 그대로 남아있는 모습에 감회가 새로웠다는 그의 말처럼 현재 전주지법의 예술 법정 정책은 더 발전해 법원 본관 로비에 초등학생들의 미술작품과 글쓰기 작품까지 전시돼 있다.
김 국장은 “근무환경 개선과 법원 이전 준비에 만전을 기하는 등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모든 일이 고향을 위해 할 수 있는 마지막 봉사라고 생각한다”며 “만성 법조타운 시대에 대한 준비를 착실히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