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45년 만에 고향 전주서 공연 갖는 파사무용단 황미숙 예술감독

9일 한국소리문화의전당서 2015년 초연작 ‘버려야 할 것들’
불교 삼독(탐욕·진에·우치)에 대한 성찰, 고향에 대한 그리움·애정 담아

‘버려야 할 것들’ 공연 모습.
‘버려야 할 것들’ 공연 모습.

그녀는 교사들이 탐내는 학생이었다. 초등학교 5학년 때는 체육 교사의 권유로 육상을 했다. 중학교 때 역시 그녀의 타고난 기질을 알아본 체육 교사와 무용 교사의 러브콜(?)이 이어졌다. 어머니의 제안으로 무용 특별활동부를 택한 그녀는 45년째 현대무용가로 살고 있다. 한국적 현대무용으로 독보적인 위치에 오른 파사무용단 황미숙 예술감독의 얘기다.

황 예술감독이 춤 인생 45년 만에 고향인 전주에서 처음으로 공연을 한다. 이번 공연은 그녀에게 작품 내적·외적으로 특별하다.

내적으로 현대무용극 ‘버려야 할 것들’은 그녀가 5년 전 불교에 입문하고 창작한 첫 작품이라는 것. 2015년 초연한 ‘버려야 할 것들’은 불교의 삼독(탐욕·진에·우치)을 다룬다. 삼독은 사람의 착한 마음을 해치는 욕심, 성냄, 어리석음 등 세 가지 번뇌를 독에 비유해 이르는 말이다. 그녀는 현대사회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근본 원인을 이 세 가지 번뇌로 보고 이에 대한 깨달음과 성찰, 해법을 몸의 언어로 풀어낸다. 라이브 연주에 맞춰 현대무용가 8명이 삼독의 양상을 옴니버스 형식으로 객관화해 표현한다. 작품의 주제를 요약한 에필로그는 황 예술감독의 몫이다.

황미숙 예술감독.
황미숙 예술감독.

황 예술감독은 “삼독은 불자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이 가진 것으로 이를 스스로 알아차리고 내려놓을 줄 알아야 한다”며 “내 삶을 되돌아봤을 때 나 역시 삼독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머리가 아닌 몸으로 공부하기 위해 ‘버려야 할 것들’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또 외적으로 이번 공연은 93세인 고령의 어머니를 위한 자리이기도 하다. 황 예술감독은 “지금이 아니면 언제 어머니에게 작품을 보여줄 수 있을지 고심했다”며 “현대무용가의 길을 걷게 해준 어머니에게 효도하고 싶은 딸의 마음”이라고 했다.

이어 “그리운 사람들에게 지난날 삶의 궤적을 보여주는 자리인 만큼 하나 된 마음으로 정성껏 준비하겠다”고 덧붙였다.

황 예술감독은 전주 중앙여중에서 무용을 시작해 전주여고를 거쳐 이화여대, 이화여대 대학원, 경희대 대학원을 졸업했다. 1989년 황미숙현대무용단을 창단한 뒤 2002년 파사무용단으로 개명해 프로 현대무용 단체의 면모를 갖췄다. 2005년 서울무용제 대상, 2006년 올해의 예술가상과 안무가상, 2008년 이사도라 예술상 등을 수상했다.

한편 파사무용단은 현대무용극 ‘버려야 할 것들’을 오는 9일 오후 3시와 6시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모악당에서 공연한다.

문민주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군산"기초의원 다치면 '두번' 챙긴다"···상해보상 ‘겹치기 예산’

자치·의회서난이 전북도의원 “전북자치도, 금융중심지 지정 위해 분골쇄신 필요”

자치·의회최형열 전북도의원 “지사 발목 잡는 정무라인, 존재 이유 의문”

사건·사고‘남원 테마파크 사업 뇌물 수수 의혹’⋯경찰, 관련자 대상 내사 착수

국회·정당도의회, 전북도 2036올림픽추진단 올림픽 추진 업무 집중 질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