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3-06-10 20:17 (Sat)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갈수록심각해지는의료격차
발굴기사

[갈수록 심각해지는 의료격차] (하) 대안 - 의료체계 전면 개선 필요

코로나 후 업무과중‧적은 급여 등으로 의료진 유출
의료계 "지역 내 의료 환경 개선⋯공공의대 설립"

image
전북대병원에 환자들이 진료를 받기 위해 접수를 받고 있다. 오세림 기자

전북 의료기관의 병상이 부족해지고 의료진마저 유출되면서 지역의료체계 붕괴 현상을 부채질 하고 있다. 의료계는 이러한 현상이 복합적인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됐다고 입을 모은다.

10일 전북의료계에 따르면 코로나19는 전북 의료체계 전반의 붕괴를 가져왔다고 분석한다.

먼저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전북의 의사들의 업무과중이 중요 원인이 됐다. 또 서울 등 수도권 지역의 의사들에 비해 현저히 적은 급여 등도 의료진 유출을 가속화 시켰다.

도내 의료계 한 관계자는 “이미 부족한 의료인력 속에서 코로나19가 발생하면서 지역에 남아있던 의사들은 밀려드는 환자들로 업무포화를 경험해 조금씩 지쳐갔다”면서 “수도권을 넘어 도내 시‧군별로도 차이가 나는 급여는 의사들이 수도권으로 향하는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고 말했다.

두 번째로는 지역에서 머물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지 않았다. 전북대병원의 경우 전북에서 자리를 잡고 싶어도 수련을 할 수 있는 정원은 한정되어 있다보니 결국 수련을 위해 수도권 병원으로 갈 수 밖에 없다는 점이 지목됐다.

코로나19로 부각된 공공의료대학원이 정치권의 이권다툼으로 번져나가면서 공공의료인력 수급 지체도 또 하나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를 위해 유희철 전북대병원장은 지역 내 의료인력이 머물 수 있도록 보건복지부에 인턴증원을 요청했으며, 병원 자체적으로 비인기과에 대한 지원방안 확대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원자가 없거나 적은 필수 진료과에 대해서는 전공의 지원시 추후 스탭(병원 내 의료진)을 보장하고, 한시적 시범기간을 정해 해외연수나 프로그램 운영 등 육성수당 지원, 기타 인센티브 지원방안 등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지역 의료체계 붕괴를 막을 가장 시급한 대책은 공공의대 설립이다. 공공의료인력을 정부가 양성해 수도권으로의 지방 의료진 유출을 최소한으로 막아내고, 지역에 의료진을 수급하는 방법이다.

강영석 전북도 복지여성보건국장은 “지역 의료격차의 가장 큰 핵심은 의료진의 확보에 있다고 본다”면서 “공공의대 설립은 그 시작이다. 추후 의대 정원을 늘리고, 핵심 의료진을 양성해 지역에 의료인력을 지속적으로 수급한다면 병상 부족과 의료인력 부족현상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끝>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의료인력 #의료체계 #의료격차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0 / 400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