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항공사업 '날개' 달았다

지경부 '항공기 제조 복합재 부품 유망거점지역' 선정

전북도가 추진하는 복합소재 기반 항공산업이 탄력을 받게 됐다. 지식경제부가 25일 발표한 '항공핵심기술 선정 및 항공분야 R&D추진방향'과 '항공산업 지역별·기능별 발전계획'에 전북이 항공기 제조 복합재 부품 유망거점지역으로 선정됐다. 지경부는 전북이 탄소소재 및 부품산업 기반이 구축된데다 새만금에 복합재기반 항공부품소재산업 클러스터 구축을 계획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해 선정했다고 배경을 밝혔다.

 

지경부가 이날 발표한 항공핵심기술은 ▲항공기 통합설계 ▲지능형 자율비행 ▲고효율 친환경 추진 시스템 ▲객실 안락성·편의성 향상 ▲비행 안전성 향성 및 시험평가 기술 ▲차세대 소재 및 기체 구조물 ▲차세대 항공전자 기술 ▲무장통합 시스템 ▲고기능 서브시스템·보기류 부품 ▲성능개선·개조 기술이다. 지경부는 이들 핵심기술을 중심으로 지역별 보유역량을 극대화해 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지역별·기능별 발전계획을 마련했다.

 

항공기제조와 정비(MRO, Maintenance Repair&Overhaul), 연구개발(R&D) 등 기능별로 선정한 지역별 발전계획에 따르면 2011년부터 시작되는 1단계 핵심거점지역으로 경남(항공기제조), 부산(MRO), 대전(R&D)이 지정됐으며, 유망거점지역으로 부산과 경북(항공기제조), 충북(MRO)이 선정됐다.

 

전북은 2012년말부터 시작되는 2단계 사업의 항공기제조 유망거점지역으로 지정됐다. 경기와 전남은 R&D유망거점으로 선정됐다. 이후 3단계로 충남과 대구 인천이 MRO 핵심거점 및 유망거점지역으로 각각 지정됐다.

 

지경부가 지정한 전북의 특화분야는 탄소소재 복합재부품 개발이다. 전북이 탄소소재 및 항공기부품소재산업을 선점하고 있는 것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편 전북이 항공산업 유망거점지역으로 선정됨에 따라 도에서 추진하고 있는 무인항공기 국가거점 생산기지 조성과 새만금 과학연구용지내에 복합재기반 항공부품소재 산업클러스터 구축, 복합재 기반 항공기정비시스템 구축 등이 탄력을 받게 됐다. 이와함께 스포츠급 경항공기 개발, 항공인력양성 등도 시너지효과를 거둘수 있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