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원들은 "무분별한 빈집 정비보다는 귀농·귀촌 가정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달라"며 "활용가치가 떨어지는 파손된 빈집은 태풍 등으로 인한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선별해 일괄 정비해 달라"고 요구했다.
또 "지원 금액 부족으로 슬레이트를 철거하지 않고 지붕을 개량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며 현실성 있는 지원과 점검 등 대책마련을 요구하기도 했으며 홍보부족과 번거로운 절차를 두려워 신청을 못하는 경우를 꼬집으며 "주민의 편에서 문제를 접근하여 해결 방안을 찾아 주길 기대한다"며 의견을 제시했다.
이에 민원봉사과장은 "귀농·귀촌자들이 빈집현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정보 제공에 최선을 다하고, 피해가 예상되는 빈집에 대한 정비와 지원금 조정, 홍보 개선 방안을 찾겠다"고 답했다.
앞서 있었던 주민생활지원과 감사에서는 박찬주 위원이 부적정한 사회단체 보조금 집행에 대해 강하게 질타했다.
박 위원은 "수시분 사회단체보조금을 지원함에 있어 심의위원회를 거치지 않고 실·과장으로 구성된 군정조정위원회에서 선정한 것은 문제가 있다"며 절차적 개선을 촉구하고 "보조금 지원은 사업비 지원을 원칙으로 하고 운영비 지원은 최소한으로 해야 하나 주민생활지원과 소관 6개 단체에 대해서 상근자 인건비, 업무추진비 등 성격에 맞지 않게 지원했다"며 내용적 하자를 꼬집었다. 덧붙여 "사회단체보조금에 대한 형식적인 정산 검사가 아닌 심의위원회의 실질적인 성과평가가 이루어져야 투명한 보조금 집행이 가능하다"며 개선을 요구했다.
이에 주민생활지원과장은 "앞으로 예산편성과 정산 검사에 신중을 기해 제대로 된 보조금 집행이 될 수 있도록 노력 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