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실군과 농어촌공사 전주·완주·임실지사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이 사업은 정부와 광역지자체 등의 지원아래 주민들이 직접 추진하는 사업이다.
임실군의 경우 지난 2008년 오수면 둔덕권역을 시점으로 삼아 이듬해에는 지사면 십이연주권역이 추진됐다.
또 덕치면 천담권역과 함께 2011년에는 성수면의 위풍당당권역, 신평면의 대리만족권역이 차례로 사업에 착수했다.
지난해는 청웅면 옥전권역이 사업대상지로 확정, 이 일대 주민 227명이 사업에 참여해 기본계획 용역과 실시설계 발주에 들어갔다.
현재까지 임실군의 종합개발사업은 6개 권역에 걸쳐 총 319억9000만원이 투입 예정인 가운데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추진됐던 옥전권역은 사업 전반을 총괄하는 유급직 사무장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불협화음이 발생해 논란이 일고 있다.
해당지역 일부 주민들은“이번 사업은 주민간 화합과 협조로 추진돼야 함에도 이를 주도하는 위원장의 독선으로 문제가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유급직 사무장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현지인을 채용하라는 모집공고에도 불구하고 외지인(전주시)을 뽑아 주민간 분열을 일으키고 있다는 것.
특히 채용된 사무장은 출근 근무일을 넘겨 규정을 어긴 데다 임실군청 공무원의 가족으로 알려져 특혜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주민 H씨는“모집공고란에 현지에 거주하며 마을주민간 원만한 관계유지가 가능한 자로 명시됐음에도 임실군과 농어촌공사가 이를 방관했다”고 비난했다.
군 관계자는“사업을 주도하는 위원장과 일부 주민간의 불화가 있는 것 같다”며“현지인이 마땅치 않으면 타 지역 사람을 뽑을 수도 있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