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장의 비리와 불법선거 등으로 오명을 떨치는 임실에는 시민운동 단체가 전무, 사회정화 차원의 군민운동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지방선거를 앞두고 입후보자와 선거브로커, 선거운동원간에 벌어지는 각종 부정행위와 관련 이를 감시하고 고발하는 사회단체 조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95년 지방자치 이후 임실지역에서는 4명의 단체장이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중도에 하차하는 불명예를 안았다.
이같은 배경에는 당선이 유력한 후보를 대상으로 승진이 약속된 보장보험(?)에 가입하는 일부 공무원들의 불법선거가 힘을 실어줬다는 여론이다.
또 지역에서 활동하는 건설업자는 물론 사회단체장도 공사수주와 보조금 확대 등을 목적으로 선거에 개입, 혼탁선거를 부추긴 것으로 전해졌다.
이밖에 자치단체 산하 계약직 임직원과 일부 영농단체 등도 신분상 안전유지와 보조금 지원을 받기위해 선거에 관여했다는 소문이 무성한 실정이다.
특히 이같은 행태는 이번 지방선거에서도 후보자 주변에서 확연히 드러나고 있어 차기군수에 대한 유권자들의 우려가 심화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주민들은 지역별로 정의로운 인사들이 참여하는 감시단체 구성의 필요성을 제시, 임실의 명예회복에 앞장서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임실읍 주민 K씨(65)는“후보자 주변을 보면 지난 선거에서 활동한 인사들이 상당수”라며“도대체 무엇을 노리고 몰려드는지 이해가 안간다”고 반문했다.
오수면 P씨(59)도“타 지역의 경우 왕성한 시민단체 활동이 부러운 상황”이라며“평소 지역발전 대책을 제시하고 부정선거를 감시, 고발하는 군민단체 결성이 아쉽다”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