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임실지역에는 귀농·귀촌자가 전년 대비 210%가 증가, 인구 유입정책이 효과를 거두면서 복지혜택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이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상대적으로 지원혜택이 많은 귀농자보다 복지혜택 등이 전무한 귀촌자 세대가 월등히 많은 것으로 알려져 시급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 5년간에 걸쳐 임실군에 유입된 귀농·귀촌자 세대는 2010년 39세대 82명에서 이듬해는 58세대 147명으로 대폭 증가됐다.
또 2012년 68세대 168명에 이어 2013년에는 137세대 275명, 올해는 7월 현재 192세대에 268명으로 급증하고 있는 것.
하지만 이들 대부분은 비교적 지원혜택이 적은 귀촌자들이 다수를 차지해 그에 따른 정주여건 기반과 복지혜택 등의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귀농인의 경우 지원사업은 소득작물 재배에 필요한 자재와 시설물, 저장 및 가공시설에 이어 농기계 및 축사시설 등에 최고 2000만원까지 무상으로 지원된다.
또 주택구입과 신축, 리모델링에도 세대당 500만원과 정착금 200만원이 지원되고 일정 규모 이상의 선도농가에는 월 50만원씩 6개월간 현장실습비도 제공된다.
반면 귀촌인의 경우는 주택구입시 신축과 리모델링에 500만원이 주어지고 귀촌교육비로 1회 50만원, 정착금 200만원에 그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3년전에 귀촌한 배모씨는“임실의 산천이 너무도 좋아 귀촌지로 살고 있지만 불편한 점이 많다”며“정주여건이 부족하고 다양한 복지혜택도 지원됐으면 좋겠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군 관계자는“임실지역의 경우 귀농·귀촌 지원혜택이 도내에서는 가장 많은 편”이라며“귀촌인에 대해서는 인구유입과 관련 지원대책을 적극 건의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