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탁업자·학생·샐러리맨 등 다양한 직업을 가진 위원들의 면면에서 보듯이 대상자 선정을 놓고 이들의 의견도 분분했던 것으로 알려진다. 합숙까지 해가면서 열띤 토론을 벌였고 그래도 의견이 모아지지 않은 10여명에 대해서는 최종적으로 투표를 통해 결정했다는 후문이다. 총선연대가 행여 있을지도 모를 형평성이나 객관성 시비를 사전에 차단하고 공정성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이 위원회를 선보인것은 참신하다. 영미법(英美法)에서 민·형사재판의 공정성을 기하기 위해 비법률가인 배심원을 이용하는 제도에서 따온듯하여 언론은 이미 ‘1백인의 배심원’이란 표현으로 이들을 고무하고 있다.
그러나 예상했던대로 여야 각당의 반응은 긍정반 부정반이다. 민주당은 비교적 긍정적인데 반해 명예총재까지 명단에 오른 자민련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심지어 음모론까지 제기하고 있는 마당이다. 한나라당도 비교적 수긍하는 태도를 보이고는 있지만 역시 공정성과 형평성에 의문을 제기하기는 마찬가지다. 그런 가운데 참여연대는 한걸음 더 나아가 2차 명단 발표를 예고하고 있고 노동계도 자체적으로 공천부적격자 명단을 발표하겠다고 나서 명단발표 파장은 앞으로도 정치권에 적지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른것은 결국 정치권의 자업자득이다. 국민들의 개혁열망을 외면한 그들에게 엄중한 심판을 내린 총선연대가 국민 84%의 지지를 받고 있는것이 이를 반증한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보통 사람들’이 심판대에 오른 ‘여의도 정치인’들을 따끔하게 혼내준 것이 이번 명단발표다. 그리고 그것이 결과적으로는 시민들의 힘으로 이룰 수 있는 정치혁명이요 민주주의의 진일보라는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