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뿐인가. 최근 ‘찬탁(贊託) 발언’으로 또 다시 정국이 뒤집히고 있다. 일제가 1945년 8월 15일 항복한 뒤 동년 12월 27일 모스크바에서 미국, 영국, 소련 3국이 3상회의를 통해서 한반도를 북위 38도선을 중심으로 나누고 남쪽은 미국이, 북쪽은 소련이 향후 5년간 통치한다는 데 합의했던 것이다. 그러한 신탁통치안이 국내에 알려지자 우익진영은 거세게 저항했고 좌익진영도 처음에는 신탁통치안에 반대했으나 소련의 지시로 찬탁으로 급변하게 되었으며 좌우 양진영간에 갈등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우익진영의 반탁운동에 힘입어 신탁통치는 백지화되었고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다. 최근 이러한 색깔 논쟁은 보수진영의 표몰이 행진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새 천년 최초의 총선에서 정책대결은 사라지고 색깔 논쟁과 지역감정의 망령이 되살아나고 있다. 문제는 어디에 있는가. 분명히 ‘범죄적’ 행위를 자행하는 정치권에 일차적으로 문제가 있다. 그러나 그러한 논리에 발붙일 틈을 주는 국민적 정서에도 문제가 있다. 선거철 중요한 것은 정책대결이다. 언론이나 방송 그리고 국민모두 나서서 정책대결의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전력해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