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석부의장은 이어 “김대중대통령의 민족통일 3단계방안과 햇볕정책, 민족공동체 이념등 통일철학이 일치해 중책을 맡았다”며 그 배경을 설명.
특히 남북정상회담 성사와 관련 김수석부의장은 “김대통령의 통일철학이 대북 포용정책으로 구현되면서 베를린선언에 이어 50년만에 남북 정상들이 만나게 됐다”고 들고 “성공적 회담을 위해 정파를 초월해 초당적, 범민족적으로 대통령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한 이회창총재의 상호주의 원칙주장에 대해선 “통일문제는 정쟁의 대상이 아니다”고 잘라말하고 “남북의 격차가 큰 만큼 안보와 국익에 손해가 안된다면 포용하고 끌어 안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수석부의장은 이와함께 “북한을 더 이상 분단적 개념과 타도의 대상으로 보아선 안된다”며 “국민화합과 민족 통합, 민족 공영의 차원에서 통일에 대한 범국민적 공감대 형성이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경북상주 태생인 김수석부의장은 중앙대 정외과와 대학원(정치학박사)을 나와 중앙대교수, 인천대학장, 중앙대총장,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장등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