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씨는 사건 현장에 없었다는 일부 지적과 관련, 유에스 뉴스 앤드 월드 리포트 최신호와의 회견에서 "내가 기억하는 한 나는 일본과 한국에 파견된 (육군 제1기갑사단 7연대) 2대대 H(중화기)중대에서 모든 군인 시절을 보냈다"면서 "내가 노근리 그곳(사건 현장)에 있었고 내가 했던 일을 말했을 뿐"이라고 밝혔다.
데일리씨는 "그러나 여러분이 알다시피 나는 몇 년 전부터 병을 앓아 재향군인관리국(VA)에서 치료를 받아 왔다"며 "나를 힘들게 하는 것은 한국에서의 악몽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정신질환으로 (매일) 독한 알약 3정씩 복용하고 있다"면서 "이 일(악몽또는 진상조사 착수)이 시작된 이래 잠을 제대로 잘 수가 없다"고 말했다.
유에스 뉴스 웹사이트는 12일 육군 인사기록부를 인용, "데일리가 기관총 사수도 아니며 1950년 7월 26일 노근리에 있지도 않았다"며 데일리씨의 인터뷰 기사를게재했다.
이 잡지는 또 "데일리가 병장으로 전역했으나 그가 전투상황에서 복역했음을 보여 주는 표창장은 하나도 없다"며 그의 증언에 의문을 제기했다.
이 잡지는 AP가 인터뷰한 증언자 9명 가운데 데일리를 포함한 3명이 노근리 현장에 없었을지도 모른다며 증언자 5명은 미군이 노근리에서 수백명의 민간인을 학살했다는 주장을 지지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브라이언 더피 유에스 뉴스 편집장은 "우리는 노근리에서 민간인 희생이 없었음을 시사하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고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전했다.
AP 통신은 성조지 등의 노근리 증언 의혹에 관해 성명을 내고 "AP 기사는 광범위한 공식적 목격자 인터뷰와 군사기록 검토를 근간으로 했다"고 반박했다.
데일리씨는 지난해 11월초 미 NBC 방송과 함께 노근리를 방문한 자리에서 "모든사람을 다 죽이라는 명령이 하달돼 상관에게 여자와 어린이는 어떻게 하느냐고 되물었으며 터널 안에 있는 것을 모두 쏘라는 재지시에 따라 20분간 사격을 했다"고 말했었다. 데일리씨는 현재 연락이 닿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