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전문 컨설팅 서비스는 업체와 농가간 자발적 계약을 바탕으로 농가 6백만원, 법인 1천2백만원 등 사업비 한도내에서 컨설팅료의 50%까지 보조 지원해주는 제도로 원예와 특작, 축산, 법인경영체, 개별농가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진안군의 경우 지난해 한 건의 실적도 없었고 올들어서도 화훼와 양돈농가 각 1건씩 신청한 상태이다.
이처럼 좋은제도가 사장되고 있는 이유는 시군 농업기술센터의 기초 컨설팅 서비스를 전분야별 농가에 확대하기는 전문인력이 절대 부족한데다 농가의 인식부족과 자부담 애로로 신청이 저조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농가소득시설의 규모화, 집적화, 첨단화가 미비한 것도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컨설팅 수요창출을 위해서는 이에대한 교육강화와 성공사례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고 농업경영 종합자금제와 연계추진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와함께 농가가 필요정보를 수시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컨설팅 공급업체 및 컨설턴트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관리도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