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 입산통제구역 협소 단속마저 소홀

산불방지를 위해 지정한 입산통제구역이 지나치게 협소한데다 그나마 단속마저 소홀해 대부분의 농민이나 등산객들이 무단출입을 일삼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당국의 철저한 단속과 통제구역 확대가 요구된다.

 

장수군은 팔공산 대성리∼학골구간 등 총7개소 24.5km의 등산로와 덕산 등 9개소 임야6천여ha에 대해 지난해 11월부터 오는 5월말까지 등산로폐쇄 및 입산통제구역으로 고시했다.

 

그러나 평일 수십명에서 주말이나 휴일에는 수백명에 달하는 등산객들이 입산신고를 기피한 채 무단출입하고 있어 통제구역지정이 사실상 유명무실화 되고 있다.

 

또 지정고시된 지역이 대부분 1천고지 이상의 고지대여서 실제 산불발화가 우려되는 5백m∼1천m의 계곡이나 숲은 출입이 자유로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인근 농지를 경작하고 있는 주민이나 등산객들이 성냥이나 라이터 등의 발화물질을 휴대하고 입산, 감시소홀에 따른 대형화재발생이 우려되고 있다.

 

실제 지난 2월 번암면에서 발생한 산불과 지난 11일 장계면 삼봉리에서 발생한 대형산불등 올들어 발생한 크고작은 산불 10여건이 인근 농지를 출입하는 농민이나 등산객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밝혀져 이같은 우려를 더해주고 있다.

 

이에대해 장수군 관계자는 “입산출입로에 감시원을 배치해 놓고 있으나 입산자들이 또다른 진입로로 무단출입하고 있어 단속에 어려움이 많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