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8일 임실신협에 근무중인 모 직원이 신협 이사장 명의로 예치된 2억원을 인출해 잠적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자 조합원들의 한결같은 아우성이 대단했다.
그런데 정작 빠른 수습을 해야 할 조합임직원들은 사건 자체를 숨기고 쉬쉬하며 사건을 축소 하려다가 취재진에 의해 사건 전말이 세간에 알려지게 됐다. 참으로 딱하고 어리석은 일이다.
그런 임직원에게 1백억원이라는 엄청난 출자금을 맡겨 놨으니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긴 꼴이 아니었는가 말이다.
금융기관은 2억원이 아니라 2원만 모자라도 안되고 2원이 남아서도 절대로 안된다는 사실이다.
그런데도 서민들 뿐만 아니라 내노라하게 가진 사람도 엄청난 금액인 2억원이라는 큰 돈을 연약한 하위직의 손에 의해 도둑을 맞았는데도 경찰에 신고치 않고 그저 태연히 “1백만원의 자기 예금을 가지고 나간 것 뿐이다”고 대답한 신협의 최고 책임자급들은 도대체 어떤 인물인지 의심치 않을 수 없다.
더욱이 가증스런 일은 “2억원 상당의 담보를 제출하면 사건을 조용히 하겠다”고 사건 당사자 가족에게 제안 했다니 어떤 음흉을 더하려 했는지 묻고싶다.
다시 말해서 1백억원 상당의 출자금이 임실신협 이사장의 개인 재산이냐는 질문이다.
예를 들어 개인 돈을 잃어 버리고 신고치 않았다 해도 의문 일턴데 공금을 잃어 버리고도 당국에 신고는 고사하고 8일이 넘도록 쉬쉬하며 자체 수습만 하려는 의도를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예컨대 자기 자리만 지키겠다는 속셈이고 신협안에 더 많은 비리가 숨어 있는게 아니냐는 의혹과 여론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신협운동은 이미 20여년전부터 시작된 ‘경제인 지방자치’라는 점에서 운영상 잘못으로 적자가 발생했다면 경제인 자치단체장이 그 피해액을 마땅히 변제해야 한다. 지금도 늦지 않았다. 직책이나 자리에 연연치 말고 모든것을 조합원에게 소상히 밝히고 조합원의 심판을 받아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