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미 상무부는 4월 내구재 주문이 6.4% 하락, 지난 91년 12월 이래 최대의 하락폭을 보였다고 발표했다.
지난 3월 4.5% 증가했던 내구재 주문이 이처럼 격감한 것은 반도체나 가전제품 등 비롯한 전자관련 내구재 주문이 20.1%나 줄어든데 가장 큰 영향을 받았으며 자동차 주문도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라고 상무부는 설명했다.
상무부는 또 4월 소비지출 증가율이 9개월래 최저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이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금리인상으로 소비수요가 억제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상무부는 4월 소비지출 증가율은 0.4%로 전달(0.6%)에 비해 낮아지는 반면 소득증가율은 지난 1월 및 3월과 같은 0.7%에 머물 것으로 예상했다.
소득증가율이 소비지출 증가율보다 높은 것은 지난 98년 7월 이래 처음인데 저축 증가율은 0.7%로 전월(0.4%)보다 높아졌다.
전문가들은 내구재 주문이 뜻밖에 크게 줄어든 것은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금리인상에 따른 자금조달비용 상승 및 컴퓨터 부품 부족 등으로 인한 제조업 성장 둔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한편 월 스트리트는 이같은 내구재 주문 격감 소식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날 초장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 주가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각각 약 20포인트 떨어지는데 그쳤으며 미 재무부 채권 수익률은 전날과 마찬가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