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안군의 경우 IMF이후인 지난 97년 10가구 27명이 귀농한 이래 98년 60가구 1백47명을 정점으로 99년 25가구 62명, 올 상반기동안 2가구 5명이 귀농하는등 갈수록 귀농자가 줄어들고 있다.
귀농자는 회사원출신이 51세대, 공무원이 18세대, 자영업이 21세대등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연령별로는 30대가 40세대, 40대가 32세대로 70%이상을 점하고 있다.
지금까지 총 97가구에 3억8천5백만원의 생업자금이 지원됐으며 가구당 평균 지원액은 1천3백80만원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들 귀농자들은 귀농자 창업자금 명목으로 1인당 2천만원 한도 내에서 2년거치 3년상환, 5% 이자의 융자금을 지원받고 있으나 정부예산의 충분한 뒷받침이 안되는데다 경제위기의 극복및 호전으로 종전사업장으로의 복귀 사례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사업불투명이나 도시 재취업을 이유로 탈농하는 귀농자가 생기고 있고 이런 현상이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만되고 있다.
한 관계자에 따르면 생업자금 한도액으로는 축산이나 시설원예, 환경농업을 시작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라는 것.
더욱이 자금 신청자들에 획일적으로 배정해 가구당 겨우 수백만원이 돌아가는등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다.
이와함께 농업기술센터와 군 지역특산과에 업무가 이원화돼 귀농업무가 체계적으로 추진되지 못해 철저해야 할 관리에 어려움도 뒤따르고 있는 상황이다.
진안군 안천면으로 귀농한 이모씨는 “농기술센터가 국가기관에서 지방자치단체소속으로 전환되었고 군수 직속으로 기구가 개편된만큼 귀농업무를 한곳으로 일원화해 일관성있는 지원이 바람직하다”며 “사실상 귀농인들이 업무에 혼선을 빚어 상당한 애로가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