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실] 人事 후유증 심각



임실군이 지난 22일자로 대폭 단행한 인사발령 결과를 놓고 정계를 비롯한 일부 사회층까지 각종 악성루머가 판을 치고 있어 심각한 후유증을 유발하고 있다.

 

특히 이같은 상황은 근거없는 상대방 흠집내기와 모략으로 이어져 인사위원회가 발끈하고 나섰고 영문을 모르는 인사대상자들도 전전긍긍하고 있다.

 

군이 설명한 이번 승진 인사요인은 성실과 근면을 최우선으로 하고 다음은 업무추진력을 꼽았으며 전보의 경우에는 장기근속자를 이동 보직하는 형식으로 단행했다.

 

그러나 23일 오전에 실시한 사령교부장에는 12명이 불참했고 사무관 승진을 예상했던 2명은 이틀째 행방이 묘연한 상태를 보이고 있어 이같은 소문은 삽시간에 전역으로 퍼져 나간 것.

 

이를 두고 정치계 일각에서는 지방선거를 앞둔 포석이라는 의견이 분분했고 한편으로는 지난 선거에 따른 보복성 인사라는 소문도 줄을 잇고 있다.

 

특히 원칙론을 앞세운 인사권자가 근거도 없는 사람을 전폭적으로 기용해 의문을 사고있다는 내용도 만만치 않은데다 실과원소장에 승진과 전보에 따른 사전교섭도 없이 내린 일방적 결정에 대해서 일부 간부들도 불만이 팽배한 상황이다.

 

이러한 소문을 두고 인사관계자는 당초 5급인 사무관의 경우 4자리였으나 전북도에 빼앗긴 1석을 되찾아 5석으로 늘어났다며 행정직의 경우 서열 8위까지 인사대상이나 1위와 3위를 이번에 승진,발탁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문제를 일으킨 농업직 사무관도 인사원칙에 따라 배치했으며 토목직의 경우는 직장내 자체 여론수렴을 적극 반영했고 전보는 장기근속에 따른 불합리를 지적,직종에 맞게 수정배치했다고 말했다.

 

이밖에 보복성 인사는 “근거없다”고 일축하고 사령교부 불참은 10명이 제설작업과 병가 및 휴가중에 있어 실질적인 후유증은 극히 일부에 그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대해 일부 공무원들은 “하지도 않은 말들이 과장되어 퍼지고 있다”며“이번 인사는 대폭적인 자리이동이 불만을 낳았으나 그래도 공직계의 여론이 많이 반영된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