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 관광부안 실제 방문객 파악 '급선무'



지역발전 및 관광활성화 등을 위한 장기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부안지역내 탐방객및 관광객등 유동인구의 실질적인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17일 군 관계자에 따르면 격포채석강 및 지역내 고유문화유산·유적지 등은 천혜의 볼거리로 관광객들로 부터 각광을 받으면서 해마다 관광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 월명암등 국립공원 변산반도의 수려한 산세 등은 등산코스로 곽광을 받으면서 한해  입산객만도 수십만여명에 달하고 있다.

 

지난해 서해안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이 지역에 대한 기대심리는 급상승, 지난 1∼2월 두달동안 서울·부산을 비롯 광주와 인천 등지에서 찾아온 외지 방문객의 수는 15만여명선.

 

그러나 이들 수치는 대부분 요금을 내고 입장한 국립공원 변산반도를 찾은 입장객의 수일뿐 실제로 지역문화유산및 갯벌체험등을 탐사한 방문객의 수 등은 전혀 조사되지 않고 있다.

 

게다가 지역내 방문객의 수나 유동인구를 입증하거나 조사할수 있는 기관도 전무한 상태여서 국립공원 변산반도관리소에 의존하고 있을 뿐이다.

 

이에 따라 격포채석강 관광호텔건립 및 변산해수욕장·모항지구내 대대적인 개발계획 등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투자자들에게 기초 자료조차 제대로 제공하지 못하고 있어 민자유치를 통한 관광산업활성화가 겉돌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와 관련 환경보호과 김동수과장은 “유동인구는 많지만 이들 수치를 구체적으로 입증할수 있는 자료는 극히 부족한 실정이다”면서 “관광활성등을 위해 공공근로 및 공익요원 등을 주요도로변에 배치, 실질적인 유동인구를 조사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