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실] 설땅잃은 농촌교육.. 정부대책 시급



농어촌 특별전형 등의 혜택에도 불구하고 일선 농촌학교와 학생수는 해마다 줄어들고 있어 정부차원의 대대적인 지원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자녀들의 도시유학을 위해 대부분의 학부모들은 이중적인 주거생활로 엄청난 가계 부담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심각한 폐해마저 낳고 있다.

 

지난 70년초 임실초등학교는 전체 학생수가 2천명에 달했으나 30년이 지난 올해들어 무려 4백50여명으로 떨어졌다.

 

또 임실동중의 경우도 당시 1천명에 달하던 학생수가 현재는 대폭 줄어든 1백88명에 그치고 있으며 면단위 학교일수록 감소율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이 때문에 종전에 분교를 포함한 관내 학교수는 초·중·고 모두 50여개에 달했으나  해마다 학생수 감소에 힘입어 현재는 20여개에 그치고 있는 형편이다.

 

이처럼 학생수가 급감하고 있는 원인은 젊은층을 수용할 수 있는 일자리가 절대 부족 하고 각종 문화혜택이 결여된데다 사교육 위탁기관 마저 빈약해 농촌학교를 기피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또한 농촌학교 교사들의 학생에 대한 지도 및 관심도가 도시에 비해 훨씬 뒤떨어진다는 학부모들의 잘못된 인식에서도 비롯되고 있다.

 

따라서 임실에서 거주하는 학부모들은  대부분 전주 등지의 도시에 거주지를 마련하고 자녀들을 불·탈법으로 전학시키는 사례가 빈번한 것으로 밝혀졌다.

 

더욱이 이같은 학부모의 경우는 두집 살림을 해야하는 까닭에 각종 가계지출이 2배에 이르고 엄청난 사교육비 부담과 기타 비용을 감수해야 하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교육부는 지난 90년 중반에 이같은 농어촌 학교의 폐해방지와 타개책으로 고교생들의 대학입시에 학교장 추천제와 특별전형 등의 혜택을 부여했으나 뚜렷한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이에대해 일부 교육관계자들은“학생들이 부담하는 교육비와 교통비를 비롯해 교육시설 등의 전폭적인 지원없이는 이러한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 ”이라고 지적했다.

 

주민들도“농촌경제가 활성화 돼야 하지만 교육부에서 농어촌학교에 대한 특별 지원책을 강구해야 학생전학과 학부모들이 겪는 가계부담 등의 폐해가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