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안군이 추진하고 있는 향토박물관 건립을 놓고 군의회 의원들과의 의견조율이 안돼 자칫 건립이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
진안군의회는 수차례에 걸친 의견조율끝에 15일 열린 간담회에서 군이 추진하고 있는 향토민속박물관 신축에 따른 공유재산관리계획안을 반려키로 최종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진안군은 용담댐 수몰과 관련, 지난 98년부터 향토민속사료 전시관 건립계획을 세우고 2천년부터 향토민속박물관 건립 계획으로 전환해 추진해 왔다.
이와관련 군은 토지매입비 8억원 등 50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2천1년부터 2천4년까지 지하 1층·지상 2층의 연면적 5백평 규모로 박물관 건립계획을 세웠었다.
특히 수자원공사에서 20억원·국도비 7억5천만원 등을 확보, 부지를 물색해 왔다.
그러나 정작 위치선정을 둘러싸고 수몰지역 주민들의 의견과 행정부서의 의견이 맞지 않아 갈등국면을 맞게 된 것.
군측은 수몰지역과 마이산북부예술 관광단지 등 2곳의 위치를 검토, 마이산쪽으로 가닥을 잡고 의회와 절충을 벌여왔다.
군측은 “전문가 8명을 초청해 의견을 조율한 결과 마이산쪽이 접근성과 효율성이 나을뿐더러 용담댐 하류지역은 수공과의 협의가 벽에 부닥쳐 있다”면서 “의회쪽의 검토요청에 따라 상전면 월포리와 안천면 삼락리 등 용담호 주변지역을 검토했으나 여건이 좋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의회에서는 당초 용담댐 건설과 관련된 예산인만큼 수몰지역 주변에 들어서야 한다는 의견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 의원은 “연간 십억여원이 드는 관리비 등의 문제도 심도있게 검토돼야 한다”면서 “주민들의 의사를 무시한 행정집행은 있을 수 없는만큼 박물관을 짓지 말자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군 관계자는 “이번 회기에 예산이 상정되지 못할 경우 지난해 이월시킨 국비를 또다시 묵혀야 한다”면서 “적어도 올까지는 원인행위가 이뤄져야 사업이 원만히 추진될 수 있을 것”이라고 아쉬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