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창] 외고유치와 지역 등권론

 

 

전주시와 군산시! 전북의 양대 산맥이다. 전주는 다 아시다시피 전북의 행정 수도요, 상징이다.
군산 또한 전북 산업의 중심지요, 공항과 항구를 지니고 있는 관문이다.

 

거슬러 올라가 보면 두 도시는 상호 선의의 경쟁 속에 자존심을 먹고 살아온 유서깊은 도시다.

 

선의의 경쟁하는 두 도시

 

전라관찰사가 있던 전주는 해방 이후에도 6대 도시로서 호남권의 중추였다.  70,80년대 산업화 이전 농경사회 때까지만 해도 전주는 금만 광활한 평야로부터 나오는 농산물로 풍요의 노래를 구가할 수 있었다. 인심과 풍류가 넘쳐 예향, 교육 등의 도시로서 전국에서 손색이 없었다.
항구도시 군산은 어떠했나.

 

역사적으로 진포란 이름의 이 도시는 항시 국가의 중요 대외 전진기지였다. 일제 때는 쌀 반출 항구로서 전성 시대를 보였다. 어염시초의 본고장 군산시는 불과 얼마전까지만 해도 백화양조, 경성고무, 한국합판 등 도내 10대기업이 싹쓸이 위치해 있었다.

 

전주시민들이 도청 소재지라 전주를 자랑하고 다녔지만 군산시민들에겐 더 큰 프라이드가 있었다. 사실상 전북 산업의 중심지요, 돈이 몇배 넘쳐났기 때문이다.  인근의 충남 서천 강경 논산까지 흡수한 화려한 해상 광역 도시 군산시였다.

 

때론 독자적으로 전주가 아닌 서울 쪽으로 직접 물꼬를 트고 개척해 나간 군산시민들의 기질이었다. 

 

과연 그럴만한 군산시민이었다. 전주와 군산은 이처럼 라이벌이었다. 그렇다고 절대 갈등 현상은 아니었다. 오히려 양대 산맥의 그런 선의적인 경쟁 속에 전북은 도세를 과시하며 그런대로 발전할 수가 있었다.

 

한데 지금와서는 어떤가.
산업화의 물결이 밀려오면서 퇴조하고 있는 전북, 주춧돌 역할을 맡아왔던 두 도시가 허덕이고 있다. 

 

행정의 중심지로서 비교적 안정적인 장치를 갖추고 있는 전주 보다 군산시의 나락은 특히 도민 모두를 안타깝게 한다.  관내 굴지기업들의 연쇄 부도와 수산업의 퇴조로 어느덧 전북 제2의 자리를 익산시에 넘겨주고 말았다. 

 

생산기반과 교육자원의 빈약, 거기에다 사통오달의 도로개통은 인구 감소현상을 재촉하고 있다.
말하자면 최악의 단계인 빈곤의 악순환 현상에 접어든 셈이다.

 

그런 위기감 속에 군산 시민들이 내놓은 첫 대책이 바로 외국어고교 설립이었다.
뒤늦게 뛰어들었지만 전주시의 논리 또한 가히 어긋나진 않다. 외고 설립에는 여러 논리적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다. 물론 어디가 먼저 뛰어들었냐?는 중요치 않다. 

 

가장 경계해야 할 대목은 일부 정치인들의 정치적 결정이요, 반면 가장 우선시 해야 할 대목은 역시 교육적 결정이다. 

 

그러나 궁극적인 목표는 인재양성을 통한 지역발전을 꾀하자는데 있음을 우리는 간과해서는 안된다.

 

문제 본질 간과해서는 안돼

 

’호. 영남 지역감정이 왜 생겨야 했나 ’이 시점에서 심사숙고 해 보자.
역대 정권들이 영남에 인구가 많고 입지 조건이 좋다는 이유로 공업단지와 교통, 편의시설에 일방 투자만을 해오지 않았던가.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초래하면서.
오죽이나 하면 우리는 지역 등권론이란 신조어까지 만들어 힘겨운 싸움을 벌이고 있지 않은가.  
마찬가지다.

 

전주와 군산을 포함해 전북도가 번영하려면 균형발전 해야 한다.
전주만 살고 나머지 전북은 껍데기로 전락하는 패권주의가 팽배해선 안된다.

 

전주의 경쟁 상대는 도내 시,군이 아니다 . 전북을 대표해 타 시도와 당당히 겨뤄 유치할 것 유치하고 따낼 것 따내야 한다.
전주와 군산은 형제요, 한 식솔임을 인식하자.

 

/임경탁(본사 편집국 부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