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따구리] 정책대결 길 연 大選

 

 

이번 제16대 대통령선거는 정책대결구도가 정착된 선거로 보아도 무방할 것 같다.

 

31년만에 양강구도가 형성된 탓도 있지만 국민들이 의식이 그만큼 성숙됨에 따라 비방과 흑색선전으로 일관하다간 오히려 손해라는 인식이 강했던 것 같다.

 

본보가 D-30일인 지난 11월19일 지방정책 관련 공약을 점검한데 이어 D-20일인 29일부터 대선후보 정책점검 시리즈를 내보낸 이후 16일 12회를 끝으로 마무리했다.

 

후보들의 정책방향을 보도함으로써 후보간 차별성을 부각시켜 유권자들의 판단을 돕고자 기획한 것이다.

 

본보는 이미 지난 6.13지방선거 당시 단체장후보들의 정책을 점검하는 등 공직선거 보도에서 정책대결을 꾸준히 유도해 왔다.

 

대선이든 총선이든 또는 지방선거든간에 후보들이 정책대결을 해야 하고 이를 근거로 유권자들이 비교선택하도록 유도하는 것은 언론 본연의 기능이기도 하다. 

 

막판 쟁점으로 부각된 행정수도 이전과 북핵공방, 대북지원 시각, 지방화전략, 교육문제 등 굵직굵직한 정책공방이 이뤄져 생산적인 선거문화에 한걸음 다가섰다는 평가를 해줄만 하다.

 

선거 초반 한나라당측이 국정원 도청의혹을 폭로하고 민주당측이 이회창 후보측의 기양건설 관련 수수의혹을 제기했지만 국민적 관심사를 이끌어내지 못한 것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문제는 대선 후보들이 표심을 지나치게 의식한 정책을 내놓고 약속한다는 데 있다. 병역 단축 공약은 젊은층의 지지를 이끌어내기 위한 것이라는 의혹이 있다.

 

대북문제 또한 한반도 문제의 전략적 해결과 통일에 대한 냉정한 정책제시보다는 한반도 전쟁위험을 들춰내 표심을 자극하려는 의도가 강했다.

 

선거전이 막판으로 치달으면서 후보간 흑색·비방전이 일어날 조짐이 있어 안타깝다는 생각이 들기는 하지만 이번 대선이 공직선거에서 정책대결의 길을 열었다는 데에 대해서는 높게 평가할만 하다.

 

/김재호(본사 정치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