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모 전문대는 최근 졸업생의 4년제대학 편입학 현황을 공개했다. 상당수의 졸업생이 4년제 대학에 편입했다는 사실을 자랑삼아 내놓은 것이다.
물론 학문적 성취도를 높이기 위해 취업보다는 진학을 택했겠지만, 어쩐지 전문대의 위상이 ‘4년제대학 편입통로’쪽으로 옮겨지는 것 같아 개운치 않다.
대학 재학생과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한 또 한번의 대입 관문인 ‘편입학’이 새해 벽두부터 관심거리다.
2003학년도 대입전형 일정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도내에서는 10개 대학이 편입생 모집에 나섰다. 전체 모집인원도 4천명이 훨씬 넘는다.
문제는 최근들어 각 대학의 편입생 모집인원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는 데 있다.
재학생 빈 자리(餘席)를 채우기 위해 실시되는 편입학제도는 사실상 지방대학 공동화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다. 편입이 지방대 학생들의 수도권 대학 이동통로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대학 중복 합격생 연쇄이동에 따른 도미노 현상이 신입생 모집과정에서만 끝나는 게 아닌 셈이다. 그리고 제도의 희생양은 이번에도 지방대다.
대학간 ‘부익부 빈익빈’현상은 수험생들에게 수차례의 선택기회를 부여한 대입과정에서뿐 아니라 편입제도를 통해 다시한번 나타난다.
이같은 여건에서 도내 대학의 편입생 모집 경쟁은 안쓰럽기까지 하다. 4년제대학 정문앞에 걸린 타대학 편입생 모집 현수막을 놓고 대학간 감정대립까지 빚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해 봇물을 이뤘던 지역 대학과 전문대학간의 연계교육협약을 통한 짝짓기도 편입과 관련이 깊다. 전문대는 졸업생들을 협약대학에 쉽게 진학시킬 수 있고 빈자리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대학측으로서도 밑질게 없다는 계산이다.
근본대책이 필요하다. 적어도 4년제대학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사편입이 아닌 재학중인 학생을 대규모로 끌어가고 끌어오는 일반편입 제도는 지방대학 살리기 차원에서도 어떤 형태로든 손질이 필요하다.
/김종표기자 (교육문화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