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따구리] ‘성매매여성 상담소의 근심’

 

 

전주농협뒤 옛 전주시 서노송동 동사무소 건물 2층에 있는 성매매 여성 인권지원센터의 '성매매 피해여성을 위한 현장상담소'.

 

전북여성단체연합이 도내 대표적 윤락가인 서노송동 속칭 ‘선미촌’에 성매매여성들을 위해 부설로 운영하고 있는 이 상담소는 지난해 8월 문을 열었다.

 

이곳은 2000년 군산 대명동과 2002년 개복동 화재로 성매매 여성이 잇따라 숨지자 도내 여성계가 여성부의 지원을 받아 현장에서 성매매 여성들을 상대로 이들의 고충 해결방안을 찾기 위해 설치되었다.

 

개소 5개월이 경과한 요즘들어 상담소 가족들이 가장 많이 받는, 가장 기피하는 질문하나가 눈에 띄고 있다. ‘상담소를 통해 얼마나 많은 여성들이 윤락가를 탈출했느냐’는 것.

 

그러나 상담비밀이기 때문에 분명히 대답해 줄 수 없을 뿐 아니라 ‘얼마나 ∼’라는 계량화된 수치에서 상담소의 의미를 찾으려하는 일부 인식에 대한 아쉬움이 있다.

 

상담소 존재가 단순히 ‘탈출’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어쩌면 상당한 시간이 흐르고, 또 이를 뒷바침할만한 제도가 뒤따라줬을때 보다 가시적인 성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일부에서는 윤락가 한복판에 위치한 그 상징성만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나름대로 ‘전투적인’자세로 상담소를 운영해오고 있는 이 단체에 지난해 연말부터 걱정거리가 생겼다. 시당국이 옛 동사무소 건물 등을 매각하겠다고 발표했기 때문.

 

단체는  다른 사무실을 찾아나서야 할 상황이지만 재정적으로 여의치 않고, ‘위치의 상징성’을 감안해도 현지를 떠날 수 없는 입장이다.   

 

대명동 참사이후 군산지역 윤락가 한복판에 ‘전투적인 상담소가 있었다면 어땠을까’라고 가정해 본다. 비슷한 참사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이곳 매각은 일반적인 재정운용 차원에서 접근해서는 안된다.

 

군산 개복동 참사 1주기가 되는 29일을 맞아 이같은 생각이 절절해지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성각(본사 사회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