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첫 조각에서 나타나고 있는 전북 인사 등용의 폭을 바라보면서 새 정부에서의 협소한 전북 인재풀의 심각함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과거 군사독재정권 하에서 호남이라는 이유로 인사 때마다 불이익을 받았고, 국민의 정부에서는 호남이라는 이유로 역차별을 받았왔던 전북인사들이 새정부에서 역시 '탈호남''국민통합'의 구호 아래에서 역차별을 받고 있지 않나 하는 의구심이 일기 때문이다.
그러나 개혁과 통합을 중심에 두고 있는 새 정부하에서의 첫 조각을 놓고 '지역 역차별'운운 하는 것은 시대에 뒤떨어진 발상일 뿐더러, 제거돼야 할 과거의 산물이다.
전북인사 발탁이 극소수에 그친 것이 못내 아쉽더라도 좀더 지켜볼 일이고, 지역 인재 키우기에 도민 모두가 힘을 합하는 자세가 우선일 것이다.
하지만 90% 이상 압도적 지지를 보내준 도민들로서는 다소 서운하지 않을까.
노무현 대통령은 그동안 새정부 첫 내각 인선을 마무리하고 고건 총리내정자와 조율을 거친 뒤 26일 입각 명단을 발표할 예정이다.
노대통령이 강조했던 '개혁형 장관, 안정형 차관'에 걸맞게 이번 입각 인사들 대다수는 개혁성향의 이미지가 강한 인사들이 대거 발탁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장관 입각이 예상되는 전북 출신 인사는 최고 2명이다. 남원출신의 윤영관 서울대교수(51)는 내정이 확실한 상태이다.
고건 총리내정자와 라종일 청와대 국가안보보좌관, 박주현 국민참여수석 등을 합하면 총 4∼5명 정도의 전북인사가 새정부 장관급 이상 고위직에서 '참여정부'를 이끌어 가게 되는 셈이다.
도민들은 과거 정부 인사 때마다 '인사차별 악몽'에 시달려 오면서 유난히 지역출신 인사 등용 여부에 관심이 높다. 전북인들이 '인사차별'을 떠올리지 않는 진정한 국민통합의 시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김재호(본사 서울주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