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따구리] 외환내빈의 전북출신

 

 

참여정부의 내각구성이 마무리 된 요즘 재경 전북인들 사이에서는 '전북사람들은 애만 썼지 제 밥그룻도 찾지 못했다”라는 말이 자주 나온다. 지난연말 대선에서 91%라는 높은 지지를 보내고도 인사에서는 제 대접을 받지 못했음을 빗댄 말이다.

 

참여정부 첫 내각에 전북출신은 6명이 참여했다. 통일부·외교통상부를 비롯한 2명의 장관과 차관급인 조달청장, 관세청장, 국무총리 비서실장, 통상교섭본부장 등으로, 청와대 국가안보보좌관과 국민참여수석까지 포함하면 장차관(급)은 8명에 이른다.숫적으로 볼때 전북은 상당한 덕을 본 셈이다.

 

그럼에도 불만의 소리는 계속 나온다. 외화내빈의 속사정 때문이다.
통일부나 외통부, 국가안보보좌관, 통상교섭본부는 통일 등 대외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등 대부분이 지역 연관성과는 거리가 먼 자리로, 모두가 실속이 없다.

 

사실 재경 전북인은 물론 도민들도 이번 인사에서 적잖은 기대를 했다. 특히 민주당 김원기 의원이 대통령 정치고문을 맡는 것을 비롯 지역출신 정치인들이 비중있는 역할을 맡는 등 전북이 새 정부의 '실세 지역'으로 떠오르면서 기대치는 더욱 높아졌다.

 

그러나 결과는 과거와 별반 달라진게 없는 구색맞추기 수준이었다.
오랜 지역차별정책으로 퇴보만을 거듭했던 지역실정을 아우러줄 수 있는 지역출신의 주요 부처기용을 고대해 왔던 도민들로서는 실망스럽기 짝이 없는 인사였다.

 

여기에 역할을 기대했던 지역 정치인들은 아무런 힘도 쓰지 못했다는 대목에서는 절망감마저 든다. 다소 섣부르기는 하지만 '또다시 5년후를 기다려야 하는가'라는 탄식의 소리마저 흘러나오고 있다.

 

경제적·심리적 마지노선인 '2백만 도민'이 무너져 상대적 박탈감에 빠져 있는 도민들에게 필요한 것은 단순 숫적안배가 아니라 보다 실질적인 지역인재 기용이다.

 

/청와대=김준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