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흥은행 파업사태가 나흘만에 극적으로 타결됐다.
이번 협상을 두고 '정부가 파업에 굴복했다''신한은행측이 너무 양보했다''법과 원칙이 무너졌다'등등의 비판이 일고 있다.
정부가 노조와의 협상에 적극 간여한데다 경영진 구성 등 협상대상이 아닌 문제까지 노조와 합의한 선례를 남긴 점은 조만간 줄이을 노동계의 하투(夏鬪)를 앞두고 부담으로 작용할 지적도 나오고 있다.
엄정한 법집행을 강조하던 정부가 사태해결에만 집착해 노조측의 무리한 요구를 수용하는 등 또다시 원칙을 무너뜨렸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 파업이 조흥은행 매각을 추진할때부터 이미 예고된 것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전산망 다운사태 등에 대한 사전 준비가 부족했다는 점에 대해서는 아쉬움이 앞선다.
급기야 경제5단체가 23일 긴급회동을 갖고 양대노총의 총파업 등 노동계의 잇단 파업 움직임에 대해 성명을 내고 즉각적인 파업중단을 촉구하는 등 이달말부터 시작되는 노동계의 줄파업에 대해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보냈다.
하지만 이번 파업이 전산망 가동 중단이나 공권력 투입 등 물리적 충돌이라는 극단적인 상황까지 가지 않고 협상을 통해 마무리 된 것은 다행이다. 전산망 다운 등의 파국으로 치닫게 되면 조흥은행을 통하는 모든 금융거래가 마비되는 것은 물론 은행이 문을 닫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하는 등 국가경제에 일대 혼란이 야기되기 때문이다.
특히 정부와 신한금융지주, 그리고 조흥은행 노조가 끝까지 머리를 맞대고 얽힌 실타래를 풀어낸 점은 평가해주고 싶다.
조흥은행 노조도 이번 파업에 대한 시장의 반응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파업기간 전북지역에서 최소 1백억원이 빠져나간 것을 비롯, 약 7조원에 달하는 예금이 인출되는 등 신뢰도 및 영업력에 타격을 입었다. 고객과 국가경제를 담보로 자신들의 주장을 관철시키려 한 대가가 예금인출사태로 돌아온 점을 명심하고 파업 후유증 극복에 노사가 한마음으로 나설 때이다.
/조동식(본사 경제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