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지역에 있으면서도 소재지 지명을 사용하지 못했던 전주제3산업단지(당시)가 제이름을 찾았다.
전주3공단으로 불렸던 단지명이 지난 3월 완주산업단지로 변경됐다. 완주군을 비롯한 관내 기관 및 사회단체와 군민들이 끊임없이 설득하고 요구해서 성취한 지명회복은 비록 작은 일로 치부할 수 있으나, 그러나 군민 입장에서는 값지고 의미있는 결과로 받아들여졌다. 봉동읍 용암리 일대 1백여만평에 조성된 완주산단은 지난 93년 만 3년간의 공사끝에 터를 닦아 업체를 입주시켰다. 자동차와 전자 정밀기계 신소재등 모두 81개 업체가 입주해 있는 이곳은 지난 9년여 동안을 산업단지 앞에 전주라는 이름을 달고 있었다.
군민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자존심이 상한 일이었다. 따라서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자는 취지에서 제이름 찾기에 나서 마침내 뜻을 이뤘다.
하지만 이름을 찾아온지 불과 몇달만에 업체사장들이 기업활동에 어려움이 많다며 다시 전주산업단지로 바꿔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아무래도 지명도와 인지도가 높은 전주로 불려져야 외지사람들이 얼른 알아 듣는다는 것이다.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일이다. 전주에서 완주산단까지는 불과 20여분 거리다. 우리 도민들이야 전주로 불려도 그 공단이 완주에 있는 줄 알겠지만 타지역 사람들은 완주가 어디에 붙어있는지 몰라 헷갈릴 수도 있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군민들이 제이름을 찾은 것은 지역의 정체성 확립을 통해 자존심을 회복하기 위해서다.
업체사장들이야 당장은 기업활동에 다소 어려움이 있겠지만, 그러나 완주군의 입장에서는 그렇게 간단한 일이 아니다. 전주로 하든, 완주로 하든 그게 무어 그리 중요하냐고 반문할 일이 아니다. 독립된 자치단체의 주민들이 찾아야 할 당연한 권리다.
업체사장들의 논리대로라면 수도권에 있는 반월공단은 서울공단으로, 여천공단은 여수공단으로 명칭을 바꿔야 할 것이다.
업체사장들은 지엽적인 문제에 얽매이지 말고 그 시간에 좋은 제품을 만드는데 힘을 써야한다. 좋은 빵을 만들어 내면 '전주제과'라는 브랜드에 상관없이 소비자들은 그 빵을 찾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