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칸쿤에서 피흘린 이경해씨의 죽음은 우리의 농민을 대변함인데 이번 추경에서 임실군의회의 처사는 이를 거역하는 행위가 아니고 뭐겠습니까”.
지난 6일 임실군의회가 결정한 추경예산 삭감을 두고 이를 한탄하는 농민단체 대표들의 한결같은 목소리다.
그도 그럴것이 삭감된 주요 예산들은 농업의 장기발전과 농가소득 지원사업들로 의회가 군비 부담금을 삭감할줄은 생각지도 못했기 때문이다.
집행부는 이러한 예산확보를 위해 연초부터 중앙부처와 전북도의 문턱을 수없이 드나 들었고 혀가 닳도록 애걸해서 겨우 마련한 특별교부금이었다.
임실에서 생산된 쌀을 원료로 농가의 소득증대를 위해 어렵게 유치한 무균밥 공장은 국비 4억원과 도비 1억2천만원 등 5억2천만원을 확보한 사업이다.
여기에는 군비 2억8천만원을 부담하는 조건으로 교부금이 보내지는데 의원들은 무슨 이유에서인지 부담금 전액을 삭감했고 8억여원의 장미수출단지 지원도 단절시켰다.
또 전국에서 가장 비싼 값으로 팔리는 고추의 경우도 고품질과 더 많은 생산을 위해 고추연구소 특별교부금 7억여원을 확보했으나 이마저도 전액을 없애버렸다.
더욱 가관인것은 전액 국비로 사용되는 농지전용 현지확인과 불법농지 단속업무 등에 필요한 출장비 등도 모두 삭감해 버려 공무원들이 아예 일을 못하도록 족쇄를 채웠다.
이처럼 뚜렷한 이유없는 결정에 지역내 농민단체와 임실군공직협 등의 여론은 최근 의회를 겨냥한 각종 비난으로 얼룩지고 있다.
농업인 심모씨는 "도저히 이대로는 못봐 주겠다”며 "현재 농민단체들이 이문제로 대응조치를 강구하는 중”임을 시사했다.
또 군청소속 하위직 공무원들도 15일 군의회에 대한 입장을 표명하고 명분과 감정을 앞세워 상호 경계와 흠집내기는 갈등조장이라며 의회와의 토론회 개최를 건의했다.
예·결위원장을 맡았던 김용환 의원은 "추경안에 대해 찬·반 의견이 분분했으나 최종 결론으로 모아져 어쩔수 없었다”고 해명했지만 어설픈 변명으로 들릴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