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인사보좌관과 국민참여수석실이 24일 전주에서 공동으로 개최하는 '참여정부 인사혁신 지역순회 토론회'가 주최측의 토론자 선정기준을 놓고 행사 시작 전부터 말이 나오고 있다.
모처럼만에 참여정부에서 주최하는 행사라 지역내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지만, 토론자 선정이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하기 보다는 참여정부 코드에 맞는 인사를 주 대상으로 하는 바람에 지나치게 한쪽으로 치우져 실망스럽다는 것이다.
주최측은 최근 행사에 앞서 토론자 명단을 공개했다. 언론계 및 시민단체·경제계 대표, 학계대표 등으로, 주최측은 이들이 지역내 각 분야를 대표하는 전문가들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각 분야별 대표성을 갖고 있는 인사라는 대목에서는 고개가 갸우뚱거려진다. 이들 대부분은 시민사회단체에서 활동했던 인사들이기 때문이다. 언론분야나 경제분야에서 활동을 하고 있다고 하지만 이들 분야를 대표한다고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른다. 큰 틀에서 보면 대부분이 지역내 시민사회단체 대표들이다.
그럼에도 주최측은 이들에게 지역 대표성을 부여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을 통해 참여정부의 인사정책에 대한 평가와 함께 지역인재 육성에 대한 지역민심을 가감없이 수렴할 계획이다.
이에 지역에서는 이번 토론회는 참여정부의 코드와 맞는 개혁성향의 시민단체 대표들의 잔치라는 비아냥마저 나오고 있다. 참여정부의 '코드'와 맞는 사람들로만 토론자를 구성해 놓고 지역내 각계각층의 다양한 소리를 어떻게 들을 수 있느냐는 것이다.
물론, 토론자를 어떻게 선정하느냐의 문제는 전적으로 주최측에 달려있다. 그러나 이번 토론회의 주제가 '국민참여를 통한 지역인재 육성방안'이라는 지역 전체의 틀이라는 점에서 토론자 인선이 너무 편협되지 않느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
지역내에는 개혁을 비롯한 보수 등의 다양한 목소리가 존재하고 있다. 지역주민들의 제대로 된 목소리를 들으려 한다면 노무현 대통령이나 참여정부의 '코드'에 맞는 사람만을 고집하기 앞서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폭을 넓히는 열린 자세를 보여줘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