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에 띨 정도로 인구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입주할 사람도 없는데 아파트만 몽땅 들어서면 도대체 어쩌겠다는 겁니까”.
주택공사 전북지사가 임실읍에 대규모 아파트를 건립한다는 소식을 듣고 이유를 모르겠다는 어느 주민의 볼멘 목소리다.
지난해 임실군의 총 인구는 3만5천71명에 임실읍의 인구는 6천6백36명 이었으나 올들어 11월말 통계에는 3만4천39명에 6천4백3명으로 알려졌다.
전체적으로는 1천32명이 감소됐고 임실읍은 무려 2백33명이 줄었으니 총 감소율의 20%에 가까운 수치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주민등록상의 인구일뿐이지 실제 거주자는 절반도 안된다는게 호구담당 전직공무원의 주장이고 보면 공감이 가는 부분이다.
아침과 저녁이면 전주∼남원간 국도는 출·퇴근 차량으로 북적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자치단체와 교육직, 경찰직 공무원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최근 상업에 종사하는 자영업자들도 유행병처럼 전주 등지에서 출·퇴근을 자랑으로 여기니 지역경제가 피폐해 지는것은 당연지사.
최근 임실군은 3만명대 인구붕괴가 초읽기에 들어가자 자구책으로 임실읍에 농공단지를 조성하고 골프장 건설을 외치며 인구유입 극대화에 나섰다.
이는 농공단지와 골프장에서 일하게 되는 1천여명의 인구유입을 노린다는 계획이지만 실제 거주인구는 10% 미만이라는 여론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주택공사가 현지를 통해 어떠한 타당성 조사를 마쳤는지 모르나 3백47세대면 3인기준 1천40명이라는 수치는 계산상으로 맞기는 하다.
그러나 현재 분양을 서두르는 S아파트의 1백92세대도 당장에 5백76명의 인구유입이 필요하거나 주민들의 이중적인 주거생활이 요구된다는 계산이다.
서민층 군민에게는 쌍수를 들고 환영할지는 모르나 현실적으로 이것이 가능한지를 묻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