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계속 중국이 마련한 중재안을 거부할 경우 북핵협상이 무기한 연기될 수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 인터넷판이 3일 외교소식통들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 신문은 이달 중으로 잠정 예정됐던 북핵 6자회담 개최가 의문시되고 있다면서 이 같이 전한 뒤 미 국무부 당국자는 "공허한 또 다른 회담은 아무도 원치 않는다"고 강조했다고 전했다.
국무부 당국자는 특히 "우리는 핵프로그램 폐기에 대한 북한의 분명한 성명을 원하고 있다"면서 "그것을 얻기 전까지는 동시적이거나 순차적인 조치를 (북한에) 취하는 아이디어는 착수조차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문은 이어 중국의 중재안은 북미 양측이 일련의 위기해소 조치를 각각 취하는 것이라면서 구체적으로는 북한이 핵무기 포기를 선언하는 것을 시작으로 미국은 북한을 공격하지 않겠다는 것을 공식적인 방법으로 약속하는 것이라고 보도했다.
신문은 또 중국이 핵문제 논의에서 나아가 북한의 인권문제나 미국이 우려하는 북한의 불량국가에 대한 재래식무기 판매 문제 및 북한이 원하는 북미간 외교관계 수립 등에 대한 일련의 폭넓은 추가 협상들도 계획하고 있다고 한 외교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전했다.
그러나 이 같은 방안은 북미 양측 모두에게서 뚜렷한 흥미를 불러일으키지 못하고 있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신문은 이번주 초 북한의 미국의 동시적 (대북)조치 없이는 먼저 핵 무장해제 조치를 취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힌 반면 미국도 북한의 구체적인 조치를 요구하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한국의 한 외교관은 2차 6자회담을 준비하는 미국의 태도에 대해 "그들(미국)은 평양으로부터 무엇을 기대하는지에 대한 매우 상세한 방안을 우리에게 제시했지만 (북한에) 제공할 방안에 대해서는 막연한 원칙과 목표만을 제시했다"고 지적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 외교관은 미국이 북한의 핵포기에 대한 대가로 무엇을 북한에 제공할지가 향후 회담의 가장 큰 장애물로 남아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한국의 입장과 관련, 대북보상 이전에 북한의 핵포기가 있어야 한다는 미국의 입장과 "크게 떨어져 있지는 않다"면서도 "우리가 궁극적으로 무엇을 (북한에게)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미리보기'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고 신문은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