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본격 공사철을 앞두고 철근난에 이어 골재파동이 우려되고 있다. 일부 시·군이 산림복구예치비를 전년비 3배 수준으로 부과하는 바람에 골재업계의 자금난 및 채산성이 크게 악화, 골재수급 차질은 물론 골재가격 인상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도내 골재업계에 따르면 산림청이 전년비 평균 6% 인상한 복구비 예치금액 기준을 올해초 각 자치단체에 내린 가운데 일부 시·군은 복구에 필요한 특수공법 등을 감안, 전년비 3배에 달하는 추가 예치금을 부과했다.
실제로 군산의 D업체는 기존에 11억9천여만원의 복구비를 예치했지만 올해 31억7천여만원의 추가 예치금이 부과돼 망연자실해 하고 있다. D업체 뿐 아니라 군산·익산지역의 상당수 골재업체에 전년비 2∼3배 수준의 추가 예치금이 부과돼 자금난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복구 예치금이 크게 증가한 것은 ha당 1억3천여만의 복구비 예치 기준액으로 전체 면적의 복구비를 산정한뒤, 절개지 및 지하채취지 복토 등의 특수공법 추가소요액을 중복으로 산출했기 때문으로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이에따라 일부 업체들은 거래처와 원가부담으로 인한 골재가격 인상에 합의하는 등 본격 공사철을 앞두고 골재가격 인상이 잇따를 전망이다.
특히 도내 골재업계가 조만간 긴급회의를 열어 해당 시·군에 시정을 건의한뒤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한국골재협회와 연대한 집단 휴업까지 추진키로 하는 등 강력 반발하고 나서 골재수급 차질은 물론 골재파동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하고 있다.
골재업계 한 관계자는 "도내 업체중 수십억원의 자금여력이 있는 업체는 거의 없다”면서 "가뜩이나 정부 규제가 강화됐는데 시·군이 한술 더떠 아예 사업을 못하게 하고 있다”고 비난하며 강력 대응 방침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