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産團언제까지 방치할 건가

 

전주산업단지의 쇠락현상이 갈수록 도를 더해 이제는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사실 이름만 공단이지 팬아시아페이퍼와 휴비스를 제외하고는 변변한 제조공장을 찾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1백28개 입주업체 가운데 섬유업체가 35개, 음·식료품업체가 13개, 영세 조립금속업체 12개 등 대부분의 업체가 부가가치가 낮고 경쟁력이 떨어지는 중소규모의 사양산업이다. 업체들이 입주할 당시인 60∼70년대 주력업종을 그대로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주산단은 전주시 팔복동 일대에 지난 67년 조성된 1단지 51만평과 87년 조성된 2단지 20만8천평등 모두 71만8천평에 그동안 1백69개 업체가 입주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와 주민의 고용창출에 크게 기여해왔다. 그러나 조성된지 30년이 넘다보니 각종 공단시설이 낡고 노후화돼 슬럼화를 면치 못하고 있다. 그밖에도 녹지구역 및 각종 편의시설은 물론 금융·유통등 배후 지원시설이 미비해 업체들의 생산활동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것도 공단침체의 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같은 전주산단의 문제점을 인식한 전주시가 지난 99년부터 산단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시작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3천여만원의 용역비까지 들여 용역을 실시하고서도 5년여 넘게 대안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은 납득이 가지 않는다. 당시 용역을 맡았던 한국산업단지공단은 전주산단의 활성화를 위해 관리기본계획을 통해 복합 및 전문화단지로 조성하고, 유통·서비스·주거기능등 지원시설을 확대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그러나 용역후 뒤늦게 산업단지 방향과 문제점이 지적되면서 용역내용의 부실까지 거론되는 시행착오를 빚고 말앗다. 별다른 용역효과도 얻지 못하고 용역비만 날린 꼴이 돼버렸다.

 

어차피 전주산단을 이 상태로 방치해둘 수 없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는 상황에서 시당국이 해야 할 일은 자명하다. 새로운 산업단지로서 기능하기 위한 재개발을 서둘러야 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첨단산업단지로의 리모델링을 주문하고 잇는데 주목해야 한다.

 

전줏나단은 이제는 위치가 도심권에 근접해 높은 땅값 부담등으로 기존의 형태로는 경쟁력을 갖출 수 없고 채산성도 크게 떨어질 수 밖에 없다. 노동집약적인 재래공단에서 첨단산업단지로 변신한 대표적 성공사례인 서울 구로공단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 전주산단의 재래발을 위한 시당국의 대책마련을 거듭 촉구한다.